아하
검색 이미지
문학 이미지
문학학문
문학 이미지
문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2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 문학적 의의가 뭔지 궁금해요.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라는 작품이 제목에서 보면 무녀는 무당을 도는 그림을 의미해서 무당과 관련된 내용임을 알거 같은데요. 액자식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무녀도의 문학적 의의가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3.12.25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녀도는 김동리의 대표작 중 하나로, 한국 전통 문화와 종교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담고 있으며, 인간의 삶과 죽음,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인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화의 죽음, 자식을 죽이는 행위 등 극단적인 사건들을 초월적인 힘에 의해 발생하는어쩔 수 없는 것으로 묘사함으로써 운명론적인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녀도와 같은 경우에는 당시 당시 기독교 교세의 확산과 무속 신앙의 쇠퇴를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전통과 근대의 충돌에서 빚어지는 강한 긴장과 대립 관계를 잘 표현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작품은 우리의 재래적 토속신앙인 무속(巫俗)의 세계가 변화의 충격 앞에서 쓰러져 가는 과정을 그린 것이다. 「무녀도」라는 그림에 담긴 한 무녀의 사연의 풀이로 제시된 이 작품은, 모든 것이 변해 가는 소용돌이 속에서 소멸해 가는 것의 마지막 남은 빛에 매달려, 이를 지키려는 비극적인 인간의 한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전체의 구성은 김동리 소설에서 흔히 보이는 액자구조로서, 이야기 속에 또 하나의 이야기가 담겨져, 이중(二重)의 허구화현상(虛構化現象), 즉 내부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 유발과 그것의 인증기능(認證機能)을 하고 있다. 한편, 내부 이야기도 모화와 욱이의 극적인 갈등이 중심을 이루면서 발단-전개-절정-대단원의 견고한 짜임을 보여준다.

    발단에서는 퇴락한 집과 ‘사람냄새’의 대비, 인물들의 서로 다른 방언의 대비, 무속과 기독교적 신관의 차이 등을 통하여 이미 이야기 전체의 기본적 갈등을 전제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모화와 욱이의 상호 거부 대립이라는 외적 갈등이 점진적으로 전개되며, 마침내 욱이의 죽음을 부르는 갈등으로 발전, 절정을 이룬다. 그 뒤 쇠퇴해 가는 모화의 자기 세계를 되찾으려는 마지막 굿과 죽음이 비극적인 대단원을 이룬다.

    여기에서 모화의 죽음과 패배는 기독교의 승리로 볼 수도 있으나, 그러한 승패보다는 도도한 역사의 변화 앞에서 이에 맞서고 겨루어보려 한, 한 인간의 마지막 모습을 비극적으로 제시한 것에 이 작품의 의미가 있다. 「무녀도」의 그림이 전제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역사적인 시간을 초극함으로써 오히려 인간적인 삶의 보편성을 암시하려는 작가의 세계관이 천명되어 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