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4

요즘 금리인상에 관해 궁금증??

요즘 미국이 금리인상한다고 하는데 연준에서 매파 비둘기파라는 용어가 있다는데 정확히 매파 비둘기파의 기준이 되는 것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2.08.04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매파 - 긴축적으로 통화정책을 주장

    비둘기파 -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주장

    주장 내용에 따라 매파와 비둘기파로 불리게 됩니다.


  • 매파와 비둘기파의 사전적의미로만 보면 강함과 부드러운 차이인데 매파는 강경파라고도 하는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긴축정책으로 금리인상을 주장하는쪽이며 비둘기파는 기준금리인하로 소비 및 고용을 촉진하자는 입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에서 안내하는 매파 그리고 비둘기파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라는 용어는 이들 새의 이미지가 상징하듯 어떤 현상에 대한 이해 및 입장표명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성향 또는 견해를 가진 정책입안자를 지칭한다. 정치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 ‘매파’는 강경파, ‘비둘기파’는 온건파를 의미하지만 최근 언론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매파’와 ‘비둘기파’는 주로 통화정책의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어 조금 다른 해석이 필요하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주로 기준금리의 변경을 통해 이루어진다. 경기가 과열되거나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플레이션, 자산가격 버블 및 과다한 부채 증가 등이 우려되는 경우 중앙은행은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려 시중금리가 함께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긴축적 통화정책을 쓰게 된다. 반면 경기 침체 및 디플레이션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금리를 인하하거나 금융자산을 직접 매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중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완화적 통화정책을 쓰게 된다.

    중앙은행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을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할 책무가 있는데, 이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울 경우 과연 어느 쪽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정책입안자간 대립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중장기 인플레이션 관점에 보다 역점을 두고 긴축적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려는 입장이 매파로 분류되고, 경제성장세 확대·유지 필요성에 치중하여 보다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입장이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 물가가 안정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움직임을 나타내면서 미국이 언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데, 동 금리인상 시기 및 속도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연 미국 FRB 의장인 옐런의 통화정책 발언이 ‘매파적’(hawkish)이기보다 ‘비둘기파적’(dovish)인지 주목하는 이유다.

    <자료=한국은행 인천본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