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4.27

미국연준에서 비둘기파와 매파는 무엇인가요?

미국연준에 관련된 뉴스를 보면, 연준위원을 비둘기파와 매파로 나누는것 같더라구요, 그런데 미국연준에서 비둘기파와 매파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비둘기파와 매파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정책과 관련된 경제 기사를 보면 자주 눈에 띄는 단어가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단어입니다.

    바로 ‘매파’(the hawks)와 ‘비둘기파’(the doves)인데요

    보통 매파는 경기가 과열 조짐을 보일 때 기준금리를 인상해서 시중에 퍼져 있는 통화를 거둬들이고 물가를 안정시키자는 ‘긴축파’를 뜻합니다.

    반대로 비둘기파는 경기를 부양할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내려 시중에 돈을 풀자는 ‘완화파’와 통합니다. 많이 사용되진 않지만, 매파도 비둘기파도 아닌 중립적 입장을 가진 쪽을 ‘올빼미파’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파와 비둘기파의 유래를 살펴보게 된다면 1960년대 미국이 베트남에서 전쟁을 하던 당시 베트남전쟁을 더 확대하고 계속해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미국의 정치인들을 매의 공격적인 성향에 빗대어서 '매파'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전쟁을 중단하고 외교적으로 평화롭게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치인들을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에 빗대어서 '비둘기파'라고 부르면서 경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매파와 비둘기파의 유래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경제에서는 공격적인 금리인상 정책을 주장하는 이들을 '매파'라고 하며, 반대로 금리인상에 대해서 온화하거나 혹은 매파에 비해서 온화한 이들을 '비둘기파'로 분류하여 부르고 있습니다.연준에서 매파적발언을 한다는 것은 금리인상을 빠르게 혹은 더 높게 제시를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금리인상을 한다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 유동성을 감소시키겠다는 것으로서, 이는 곧 기업들의 실적악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증시는 하락하게 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둘기파는 금리 등을 인하하여 경기를 부양하자는 기조를 보이며

    매파와 같은 경우에는 금리 등을 인상하여 경기의 과열을 막자는 기조를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