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한가한푸들278
한가한푸들27821.08.22

국내 코로나 백신을 만들고있다는데 어떤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국내에 코로나 백신 임상?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들었던 것 같은데 지금 해외백신하고 차이가 있을까요

지금 백신부작용도 있다는 뉴스도 보고 불안하기도 해서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임상에 들어갔다고 하여도

    임상실험에 통과하지 못하면 백신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백신이 나온다고 하여도 다른 백신에 비해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경쟁력이 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더나와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은 mRNA 방식,
    얀센,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백터 방식이고,

    국내 S사에서 개발하고 임상 3상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백신은 유전자 재조합 백신으로
    아직 국내에 도입이 되지 않은 노바백스의 백신과
    같은 원리로 개발 중입니다.

    백신이 개발되고 연구결과가 누적돼야 정확하겠지만,
    코로나19 백신 외에 기존의 다양한 종류의 백신들이
    유전자 재조합 백신으로 생산 및 접종해 왔기 때문에,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경험이 적은 mRNA 방식과
    바이러스백터 방식의 코로나19 백신들에 비해서
    조금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국내 코로나 백신 중 가장 가능성 높은 것은 SK바이오사이언스며 곧 3차 임상이 들어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나오는 백신은 mRNA백신, 바이러스벡터 백신인데 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하고 있는 백신은 단백질 백신입니다. 단백질 백신이 지금 나오는 백신보다 부작용이 적은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임상에서 실패할수도 있고 될수도 있고..

    그때 나와봐야알 수 있습니다

    백신 맞고 개인위생 잘 지키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로서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힘듭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셀트리온을 포함한 다양한 제약회사에서 백신 개발을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성분 및 어떠한 형태의 백신인지 정확히 밝혀진 것들이 잘 없으며 임상 과정에서 실패하는 백신도 매우 많습니다.

    조금 더 기다려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 내년 상반기에 코로나 치료제 등이 나올 수도 있다니 기대감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셀트리온과 다양한 제약회사에서 국내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타 확실한 정보는 없으며 추후 임상과정이 완료되고 보급되어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각 제조사의 백신들은 정확한 성분 등은 알지 못하며 해외 백신과 연료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같은 mRNA나 바이러스 벡터 백신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