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도에 백두산 폭발한다는 얘기가 많던데
왜 이런얘기가 나오는지가 궁금하면서도 무섭네요...
또한 화산폭발시 대비해야하는 부분
기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ㅎ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 폭발은 매우 위험하며 다양한 위험 요인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는 화산재, 즉 미세한 화산재 입자가 호흡기에 침입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과 산성비, 지진, 산사태, 쇄설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근접한 지역의 대피 및 대기 품질 모니터링, 화산 감시 시스템 구축, 주변 지역의 건축물 안전성 강화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백두산이 25년에 폭발한다는 이야기는 국내외에서 여러 번 제기되었지만, 이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루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 폭발 대처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문이나 창문을닫습니다
- 물을 묻힌 수건을 문의 빈틈이나 환기구에 둡니다.
- 실바람이 들어오는 창문에는 테이프를 붙입니다.
- 깨지기 쉬운 전화 제품에 커버를 하고, 주위의 화산재가 없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기종, 천식 환자는 실내에 머무르도록 합니다.
위의 대처법은 국민행동요령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 폭발로 인한 대피는 매우 급박한 상황이므로, 대피 계획을 미리 수립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피 계획에는 대피하는 방법, 대피하는 장소, 대피 시 필요한 물품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화산 폭발 시 긴급한 도움이 필요할 때를 대비하여, 비상 연락망을 구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긴급한 구조나 의료 서비스, 식량 등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화산 폭발 시 대피를 위해 필요한 물품들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식량, 물, 의약품, 침낭, 등산용품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백두산이 폭발하면 백두산주변은 당연히 초토화가 될것입니다.
다만 그 영향이 남한에 까지 영향을 미치지않을것으로 보입니다
미리걱정안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