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23.04.17

농촌 계몽 운동인 새마을운동은 우리나라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 주었나요?

새마을운동하면 녹색모자를 쓰고 분주히 움직이는 이웃주민들이 떠오르는데요.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경제발전을 위해 힘쓴 운동이었다고 생각드는데, 궁극적으로 새마을운동이 우리나라에 어떤 변화를 주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4.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을 내세워 주민들을 동원한 운동이다.

    새마을운동의 성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던 농촌지역 개발정책으로 보는 견해, 도시지역까지 포함하는 사회개발의 일환으로 보는 견해, 총체적인 국가발전을 지향하는 범국민운동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분명한 것은 새마을운동은 몇십 년간 지속되면서 수차례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그 실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정부의 지원 아래 농촌개발사업으로 시작했지만 공장·도시·직장 등 점차 한국사회 전체의 근대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가 80년대 이후 정부 지원이 감소하면서 자연스럽게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1972년부터는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를 설립하였고, 마을별로 새마을지도자를 위촉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중심적 역할을 맡겼다. 그러면서 사업내용도 애당초의 환경개선의 범위를 넘어 농민들의 의식계발, 소득증진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범위로 확장했다. 1973년 이후부터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官)과 민(民)을 연결하는 조직을 구성하였다. 내무부 지방국에 새마을지도과를 설치하고, 새마을 담당관 및 계획분석관을 두도록 했다.

    출처: 우리역사넷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000년 이후 한국정부는 국제사회에 새마을운동을 지역사회개발 운동의 성공 사례로 홍보하였고 2000년에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의 명칭을 새마을운동중앙회로 바꾸고 유엔의 비정부기구로 가입했습니다.

    2003년 필리핀, 몽골, 러시아 , 중국, 베트남, 아프가니스탄 등 아프리카와 아시아 저개발국에 적극 새마을운동을 보급, 한국정부가 공적개발원조사업을 시작한 2009년부터 개발도상국 농촌에 경제발전 경험을 전수한다는 점을 내세우나 학계에서는 새마을 운동이 산업화 시기 정책으로 의도된 불균형 발전에 따르는 비용을 농촌에 그대로 전가시켜 농민들을 당대의 지배논리 안으로 포섭하려는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다른 개발도상국의 사례에 직접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