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6.07

과거에 있었던 새마을 운동의 취지는

과거 우리나라가 경재적 어려움을 격고있을때 새마을 운동으로 국민들이 단합해서 어려움을이겨냈다 정도로 알고있는데 정확한 취지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06.07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면, 자조, 협동 정신과 잘 살아보세 라는 구호를 바탕으로 빈곤퇴치와 지역사회 개발을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농촌경제 발전과 농가소득 향상을 목표로 시작되었으며 공업중심의 경제개발로 농업의 중요도가 낮아져 도시와 농촌간 소득격차가 많이 벌어지자 농촌문제가 사회문제가 되었고 집권당의 전통적 정치기반을 흔들 수 있는 불안요소가 되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추진한 것이 농촌새마을 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정희 대통령은 농민, 관계기관, 지도자간의 협조를 전제로 한 농촌자조노력의 진작방안을 연구하라고 특별지시를 내렸는데, 이것이 새마을운동을 기획, 집행한 역사적 발단이 되었습니다. 농촌을 대상으로 한 새마을운동을 왜 국가원수가 직접 발의하였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공업화 우선 정책 하에서 당시 농촌이 후진성이 크게 드러났기 때문이라는 것이라는 견해가 많습니다. 그러나 비록 소수의 견해라 하더라도 북한의 ‘천리마운동’ 등에 반응한 냉전의 한 산물로 새마을운동을 보는 사례도 있습니다. 또한 당시의 경직된 국내정치상황에서 비롯된 긴장완화적인 정치적 조처라고 보는 이도 있습니다. 따라서 새마을운동의 발의 초기에 지식인들은 냉담한 반응을 나타내었습니다. 새마을운동은 주로 내무부의 계통적 관료에 의한 효율적인 동원편제에 힘입어 농촌인의 자각을 일깨우지 않은 채 하행적·일방적·충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행정적인 개발계획은 새마을운동이 진척을 보임에 따라 지역주민과의 상호협동을 통해 본연의 것으로 발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