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색다른호저89
색다른호저89
21.03.13

옛날에 처방받은 감기약의 진통제 먹어도될까요?

한 반년정도 전?에 감기때문에 처방받은 약중에 소염진통제가 있는데 편두통이 가끔 도질때 이 진통제를 먹어도 되는지 궁금해요. 먹어도될까요?타이레놀이 없어서 그래요 염증이 아니라 편두통같은거여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전인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약품 유통기한에 대해 고민이시군요. 우선 답변을 드리자면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에 대해서는 사용하시지 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처방을 통해 조제한 의약품의 경우 그 유통기한은 2개월 정도로 정하고 있습니다.식품에도 사용기한이 있다고 하지만 의약품의 경우 효능이나 안정성등을 고려하여 제약회사에서 유통기한이란 것을 정합니다. 해당 기간이 지날경우에는 제약회사에서도 보장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어떠한 부작용을 초래할지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약이 아까우시더라도 안정성을 고려하여 폐의약품으로 처리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이상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될만한 글을 아래 첨부합니다.

    https://m.blog.naver.com/dlsqo9196/222263323647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한 반년정도 전?에 감기때문에 처방받은 약중에 소염진통제가 있는데 편두통이 가끔 도질때 이 진통제를 먹어도 되는지 궁금해요. 먹어도될까요?타이레놀이 없어서 그래요 염증이 아니라 편두통같은거여도 될까요?

    =================================================

    조제복용이 끝난 후 90일 지나면 폐기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약을 받으셨고 남았다면 보건소나 약국에 폐기하시는 게 원칙입니다

    단, 의사선생님께서 필요할 때 드시라고 한 약이 따로 있는 건 예외입니다


    해당 약을 드셨을 때와 현재 증상이 똑같다고 하셔도

    디테일하게 약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그 때는 똑같이 목이 아파서 항생제가 필요한 상황일 수 있지만

    현재는 항생제를 안 써도 나을 수 있다면 불필요한 약을 먹어

    내성 확률만 키우기 때문이죠

    그래서 다시 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으시거나

    가볍게 왔다면 약국에 가셔서 약을 구입하시길 권장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