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루 현상은 어떤 원리로 발생하나요?
사막에서는 간혹 신기루 현상이 일어난다고 하는데,
신기루 현상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입니까?
그리고 사막이 아닌, 일반 도시에서도 발생할 수가 있나요?
- 신기루란 대기 중에서 온도 차이가 나는 공기에 의해 빛이 굴절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 물체가 실제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 한여름의 낮에 차를 타고 도로를 달리다 보면 도로에 물이 고여 있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 하지만 실제로 도로를 자세히 관찰하여 보면 물은 고여 있지 않습니다. - 이러한 이유는 바로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도로 표면의 공기는 강렬한 햇빛으로 인하여 뜨겁게 가열되고, 도로 위쪽의 공기는 도로 표면보다 차갑게 됩니다. - 하늘에서 아래쪽으로 반사된 빛은 보통 차가운 공기를 지나 도로 쪽으로 똑바로 나아갑니다. - 이 때 빛은 도로 가까이를 지나면서 뜨거운 공기로 인하여 위쪽으로 굴절되고, 관측자의 눈에는 마치 뜨거운 도로 쪽에서 빛이 나온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 하늘에서 아래쪽으로 반사된 빛 중의 일부는 굴절하지 않고 똑바로 관측자의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실제 하늘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하늘의 모습 가운데 하나는 실제 하늘의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거꾸로 보이는 하늘의 신기루 모습입니다. 하늘이 신기루의 대상이 되어 도로에 물이 고여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 것입니다.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 차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습니다. -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게 되고, -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됩니다. - 이때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 따라서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신기루로 보곤 하는데, - 이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이러한 조건이 만족한다면 도시에서도 발생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 신기루는 온도나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할 때 빛이 굴절되거나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광학 현상입니다. 이것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물웅덩이와 같은 물체의 모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열등 신기루, 우월 신기루, 파타 모르가나 신기루 등 여러 유형의 신기루가 있습니다. 열등한 신기루는 빛이 뜨거운 노면과 같이 그 아래의 공기보다 따뜻한 공기층을 통과할 때 굴절될 때 발생합니다. 이렇게 하면 노면에 물웅덩이의 모양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는 도로에 반사된 하늘 이미지입니다. - 우수한 신기루는 빛이 찬물이나 얼음 층과 같이 그 아래의 공기보다 더 차가운 공기층을 통과할 때 굴절될 때 발생합니다. 이렇게 하면 실제보다 멀리 있는 배나 섬과 같은 물체의 모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 Fata Morgana 신기루는 왜곡되고 늘어난 이미지의 확장된 시리즈로 나타날 수 있는 뛰어난 신기루 유형입니다. 이러한 신기루는 종종 지중해와 같은 큰 수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신기루는 사막, 도시 및 다양한 온도나 공기 밀도가 있는 기타 지역을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기가 매우 뜨겁고 건조하거나 공기와 지면 사이의 온도 구배가 큰 경우와 같은 특정 조건에서는 더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