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23

왜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이 감퇴하는건가요?

어릴때는 별의 별걸 다 기억하잖아요.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왜 기억력이 감퇴하는걸까요?

기억력을 향상 시키려면 어떻게 해주는게 좋나요?

기억력이 많이 나빠지면, 치매도 오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기억력이 감퇴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노화로 인해 뇌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그로 인해 뇌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둘째, 노화로 인해 신경세포 간 연결이 약해지고, 뉴런들이 죽어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셋째, 노화로 인해 뇌에 노이로제네틱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화로 인해 전체적인 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노화에 따라 기억력이 감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든 노인들에게 일반적인 경향이며, 모든 노인들이 기억력이 감퇴하는 것은 아닙니다. 노년층에서는 정신활동이나 체력적인 운동, 사회활동 등을 통해 뇌를 자극하고 활발하게 사용하면 기억력이 유지되거나 개선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노화는 인체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으로, 기억력 감퇴도 이러한 노화의 일환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뇌의 신경세포가 감소하거나 손상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일어나며, 이는 기억력 감퇴와 관련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노화로 인한 기억력 감퇴는 노력하면 막을 수 있다. 나이가 들면 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해 주는 신경세포 연결부가 새로 형성되기 어렵고 또한 전두엽 세포 수가 줄어 회상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기억력이 감퇴하게 되는 것입니다. 기억력 감퇴는 기억력에만 문제가 되는 것이지 치매와 같이 계산능력 판단 능력등 기타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기억력감퇴한다고 해서 치매가 오지는 않습니다.기억력을 좋게하려면 메모하는 습관, 독서, 뇌혈류 증가를 위해 걷기 등을하면 좋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를 먹을 수록 기억력이 떨어지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첫째로, 노화에 따른 뇌 세포의 손상이나 죽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져서입니다. 노화에 따른 뇌 변화로 인해 뉴런의 수가 감소하거나 뉴런 간 연결이 느려져서 기억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둘째로, 노화에 따른 뇌 혈류가 저하되는 것도 기억력 저하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노화로 인해 혈관의 노화가 일어나면 뇌에 영양 공급이 어려워져서 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셋째로, 스트레스나 우울증, 불면증 등의 정신 건강 문제가 기억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뇌 기능에 영향을 미쳐 기억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넷째로, 생활 습관이나 생활 환경에 따른 영향도 큽니다. 긴 시간 동안 TV나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등의 습관은 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규칙적인 수면 패턴이나 균형 잡힌 식습관 등의 건강한 생활 습관이 뇌 기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노화로 인한 생리적인 변화 외에도 일상 생활에서의 습관, 건강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기억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이 감퇴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노화로 인한 신경세포의 감소입니다. 뇌에서는 뉴런이라는 세포들이 서로 연결되어 복잡한 정보처리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노화로 인해 뉴런의 수가 줄어들면서, 이러한 정보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노화는 뇌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노화로 인해 뇌에서는 뉴로트랜스미터(신경전달물질)와 같은 화학물질의 수준이 감소하고, 이는 기억력과 관련된 신경회로의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감퇴를 늦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많이 되고 있고 권장되는 방법은

    -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뇌를 자극하거나

    - 새로운 것을 배우는 등 다양한 자극을 주어서 뇌에서 새로운 뉴로트랜스미터를 생성하고, 신경회로를 활성화시켜 뇌의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것 입니다.

    - 건강한 식습관과 충분한 수면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두뇌를 자극하는 훈련과 게임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두뇌 게임과 퍼즐을 풀거나,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래 내용이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베타아밀로이드 라는 독성 물질이 체내에 쌓이면서 기억뇌세포의 작용을 억제하면 기억력이 나빠진다고 합니다.

    사람의 뇌세포와 두뇌 활동은 16~18세까지 성장하고 활성화한다. 그 이후부터 기억력이 떨어지기 시작해 30대부터 순간순간 건망증이 나타난다. 기억력 감퇴는 대체로 30대에 들어서면서 시작되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기억력 저하는 뇌신경세포를 죽이는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독성 물질이 쌓이면서 시작된다. 이 물질이 누적돼 기억력에 영향을 일으키는 시점은 사람마다 다르다. 흡연이나 기름진 식습관 등으로 뇌혈관이 빨리 좁아지는 사람일수록 기억력 감퇴도 빨리 온다. 혈류를 통해 해마에 영양을 공급하고 독성물질을 비롯한 노폐물이 빠져나가야 하는데, 혈관이 좁아지면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뇌세포 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단기기억을 장기기억화시키는 해마의 세포가 손상을 입으면 최근에 생긴 일부터 기억이 나지 않게 된다.

    치매는 가족력이 있지만, 기억력 감퇴는 개인 차이가 있을 뿐 집안 내력은 없다. 스트레스도 기억력 감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스트레스호르몬인 코르티솔은 해마를 녹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기기억이 장기기억화되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IT 기기 때문에 기억력 감퇴 시기가 앞당겨지는 추세다. 계산·메모·연락처 저장 등을 한 번에 해결하는 스마트폰에 의지해서 뇌를 많이 안 쓰기 때문이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노화가 되다보니 자연스레 뇌신경들의 활동이 둔해지게 되어 기억력이 감퇴합니다. 그래서 꾸준하게 뇌를 쓸 수 있는 고스톱, 스도쿠 등을 해주면 기억력 감퇴를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뇌도 노화가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만약 문제가 생겼을 경우는 치료를 받으면 되지만 보통은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머리를 쓸 수 있는 행동들을 주기적으로 해주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기억력이 나이 들수록 감퇴되는 이유는 뇌세포가 손상되어 기억력과 집중력이 저하됩니다.

    아래의 성분들은 유해산소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하고, 뇌 활동을 촉진해 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비타민 E

    들기름(62mg), 호박씨(27mg), 호두(19mg), 올리브(5mg), 아보카도(4mg)

    2. 레스베라트롤

    포도(3mg), 링곤베리(3mg), 크랜베리(1.9mg), 레드커런트(1.6mg), 빌베리(0.7mg)

    3. 셀레늄

    송이버섯(160μg), 참치(110μg), 계란 노른자(69μg), 애플망고(24μg), 파인애플(11μg)

    4. 쿼세틴

    적양파(101mg), 아로니아(46mg), 적상추(40mg), 다크 초콜릿(25mg), 사과(16mg)

    5. DHA

    고등어(3,988mg), 멸치(1,854mg), 꽁치(1,200mg), 참치(975mg), 오징어(621mg)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미경은 과거부터 화석화된 자국 등으로부터 물질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으며, 안토니 반 레워흐가 제작한 단순한 현미경이 그 기술을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반 레워흐는 자신이 발견한 미생물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하였고, 그 결과 생물학 분야에서 현미경의 활용성이 인정되면서 현미경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었습니다. 현재는 다양한 현미경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