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자린고비56379
자린고비5637922.12.08

1년 365일, 하루 24시간은 어느 시대에 누가 발견한 것인가요?

1년 365일이고 하루는 24시간 이라고 정의를 내린 것은 어느 시대인가요? 그 당시 최초 발견자는 어떻게 이 공식을 찾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으로 부터 한바퀴 도는 시간이 365일입니다.

    24시간은 지구가 자전 시간 입니다.

    율리우스 시저대제가 만들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공전/자전주기와 고나련이 있습니다.

    지구의 공전주기는 365.24219일이고, 자전주기는 23.9345시간입니다.

    이에 따라 하루는 24시간, 1년은 365일로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년을 365일로 계산하는 것을 태양력이라고 합니다.

    태양력은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만든 역법으로서, 태음력과 상대된다. 이집트에서 BC 18세기경 1년 365일의 태양력을 만든 것이 그 기원입니다. 그후 1년이 365.25일이란 것을 알게되면서 율리우스력에 채용하여 4년마다 1일 더하는 윤년이 생겼습니다. 1582년 그레고리력으로 이어져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눈 것도 이집트인들이 정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고대 메소포타미아는 달이 변하는 주기에 따라 29일 또는 30일을 한 달로 정하고 열두 달을 1년으로 하는 태음력을 사용했습니다.그런데 태음력은 1년이 364일이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365일 24시간 체계는 그레고리력(GregorianCalendar)이라고 하는데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태양력(太陽曆)으로,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이전의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시행한 역법을 말합니다. 그레고리력은 100으로 나누어지지 않으면서 4로 나누어지는 해(96회)와400으로 나누어지는 해 1회를 합해 400년 동안 97회의 윤년을 두었습니다.이 그레고리력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달력입니다. 율리우스력의 계산법은 천체운행과 불일치함으로 오차가 발생했기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새로운 역법을 만들었던 것이었지요. 그레고리력은 달의 운동과는 관계없이, 태양의 운행만을 기준으로 한 태양력의 한 종류로, 이 역법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일반화된 시기는 20세기가 되어서라고 볼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