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4.02.11

하루 24시간을 도입한 최초의 기록은 언제일까요?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은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는데요.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된 시점은 인류사에서 언제인가요?

누가 어느 나라에서 먼저 알아냈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 24시간을 도입한 최초의 기록은 약 4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견된 세계 최고로 오래된 시간 기록인 선형 기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대그리스 시대라고 추측하나 실제 정확히 도입한 시기는 문헌이나 공식기록으로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11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은 매우 당연한 사실이지만 이것을 알게 된 시점은 인류사에서는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인류가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 이후로부터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최초의 기록은 약 5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견된 천문학적 기록에 있습니다. 이 기록은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을 도입한 최초의 기록은 약 3500년 전 바빌로니아 지역에서 발견된 천문학적 기록에 있습니다. 이 기록은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것을 도입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개념은 고대 문명에서부터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고 표준화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고대 문명에서는 일일 활동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러 시간을 나누거나 추정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현대의 24시간 체계는 천문학적인 연구와 시계 제작 기술의 발전을 통해 정교화되었습니다.

    그리스의 천문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는 공전의 시간을 24등분하여 시간을 측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24시간 체계는 대부분 로마 제국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그 후에 세계 각지에 퍼져 가며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나라나 인물이 가장 먼저 알아낸 것은 아니며, 이는 전 세계적인 과학적 발전의 결과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인형 과학전문가 입니다.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들은 하루를 12시간의 낮과 12시간의 밤으로 구분했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그리스인들이 기준점으로 삼은 지평선과 중천을 기준으로 별들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이를 토대로 시간을 측정했다고 하네요 이렇게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눈 체계는 로마 제국에 의해 전파되어 유럽 전역에 널리 퍼지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 24시간을 도입한 최초의 기록은 약 2000년 전인 고대 바빌로니아 문명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천문학적인 관측을 통해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고, 이를 기록하기 위해 천체의 움직임과 시간을 관찰하였습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성숙한 천문학 지식을 바탕으로 천문학적 단위를 사용하여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 그 중 하루를 24시간, 1시간을 60분, 1분을 60초로 나누는 체계를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이러한 체계는 이후로 지속되어 현대의 시간 체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 24시 개념은


    오랜 역사를 거쳐


    여러 문명과 문화에서 점진적으로


    발전되었기 때문에 특정한 사람이나


    시대에 단정짓기 어렵습니다.

    수메르 문명 (기원전 4000년) 에서는


    하루를 60진법으로 나누어 12시간 낮과 12시간


    밤으로 구분했습니다.



    고대 이집트 (기원전 3000년) 시대에


    12시간


    낮과 12시간 밤을 각각


    10단위로 나누고



    밤 시간에 별 관측을


    통해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 (기원전 2000년)


    때 수메르의 60진법을


    계승하여 1시간을 60분으로 나누었습니다.


    클레오파트라 (기원전 69-30년) 때 24시간


    시계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서 수도원에서


    기도 시간을 알리기 위해


    24시간 시계를 사용했습니다.


    프랑스 혁명 때 10진법 기반의


    24시간제를 공식적으로


    도입했습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 (ISO)에서는


    24시간제를 국제 표준으로 지정했습니다.



    하루 24시 개념은 특정 인물이나


    시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명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점진적으로


    발전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