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무릎에 오스굿슐라터가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오른쪽 무릎에 오스굿슐라터 가 있는데요. 수술을 해야하는지... 한번씩 무릎을 많이 쓰면 조금 불편하고 무릎이바닦에 닿이면 좀 불편합니다. 그리고 의사분들이 진단코드가 어떻게 하시는지요. 이게 골절인가요? 질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오스굿씨 병은 정강이뼈 결절 부위에 통증과 부종이 생겨 정강이뼈 위쪽의 앞부분이 툭 튀어나온 질환을 의미합니다. 뼈가 빨리 자라는 시기에는 힘줄과 경골의 부착 부위가 특히 약한 상태입니다. 정강이뼈(경골)에는 슬개건이 붙어 있는데, 여기에 반복적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이 힘줄이나 힘줄의 뼈 부착 부위에 염증이 생깁니다. 그 결과 정강이뼈 결절 부위에 통증 및 부종이 생겨 오스굿씨 병이 생깁니다. 이 부위를 누르면 아픕니다. 운동한 뒤에 통증이 생깁니다.오스굿씨 병은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지속적으로 무릎에 부담이 가는 일(계단 오르기)을 하거나, 정강이뼈(경골) 근육이 많이 부착된 인대에 반복적으로 강한 자극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10~15세의 성장기 아이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특히 활동성이 많은 남자아이에게 주로 발병합니다.
정강이뼈(경골) 윗부분의 뼈가 튀어나오거나, 통증, 압통, 부종이 있습니다. 다리 통증은 심하지 않고 운동할 때에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이 심해서 운동을 하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계단 오르기, 무릎 꿇기, 쭈그리고 앉기, 발차기 등의 동작을 할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보통 통증은 한쪽 무릎에만 나타나지만, 20~30%는 양측에서 나타납니다.
오스굿씨 병을 진단하기 위해 무릎의 통증, 압통점, 부종 및 발적, 운동 범위를 검사하고, 고관절의 운동을 평가합니다. 진단이 확실하지 않을 때는 X-ray 검사를 시행하여 경골 뼈 상단의 작은 뼛조각이 분리된 상태나 슬개건의 이상 위치에 석회질이 침착된 상태를 확인합니다. 필요시 초음파 검사나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등 정밀 검사를 시행해 슬개건을 더욱 자세히 평가합니다.
오스굿씨 병은 통증을 일으키는 운동을 삼가고 무릎을 편한 상태로 유지하면 호전됩니다. 통증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복용하고, 일시적으로 보조기를 사용하며 무릎을 보호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지만, 뼛조각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 치료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오스굿씨 병의 증상은 대부분 급성장이 멈추고 골 성숙이 이루어지는 18세 이전에 좋아집니다. 통증은 사라져도 뼈가 튀어나온 부분은 계속 남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오스굿씨 병을 앓았던 적이 있는 성인은 수년이 지나도 무릎을 꿇을 때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코드는 병원에 가셔서 진단서 받으시고 확인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질병으로 나가긴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오스굿슐라터는 질병으로 들어가며, 특별히 골절편의 전위등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우선은 성장기가 끝난다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과관찰 및 보존적 치료가 추천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많이 놀라셨을 듯 합니다. 오스굿씨병은 대체로 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가급적 통증을 유발하는 운동은 피하고 아프다면 진통제를 드시면서 지켜보시면 되지요. 시간이 지나면 통증도 대부분은 좋아지기도 합니다. 만약 통증이 심하고 지속된다면 수술도 고려해 봐야 하지요. 원인은 골절이라 보기는 어렵고, 성장 과정 중에서 나타나는 반복적인 자극에 의해 생기는 병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진단코드는 M925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