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개구리1
개구리124.04.09

비가오면 하늘이 왜 어두워질까요?

맑은 하늘은 당연히 환하겠지만,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구름이 끼어도 환한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비가 오는 날은 유난히 어두운데,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면 수증기로 가득찬 구름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통과되는 빛이 감소하여 태양 빛을 가리게 됩니다. 이로인해 어두워지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온다는거 자체가 하늘에 포화된 수증기가 많다는 소리입니다. 이로인해서 햇빛을 막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하늘이 어두워지는 이유는 비구름이 태양빛을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비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되어 만들어진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물방울들은 태양빛을 흡수하고 산란시켜 하늘을 어둡게 만듭니다. 또한,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하늘 아래 구름 층이 두꺼워져 더욱 어둡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온다는 것 자체가 비구름이라 불리는 적란운이 하늘을 가득 매워 햇빛이 통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구름의 경우 햇빛을 통과시킬 수 있지만 비구름의 경우 밀도가 높은 구름이라 햇빛이 이러한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구름 위에서 반사되어 구름 위는 밝더라도 구름 아래는 빛이 통과하지 못해 낮시간이더라도 어둡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은 물방울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떄문에 태양에서 오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산란시키기 떄문에 지상으로 내려오는 빛의 양은 줄어들어 어두워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날은 구름이 더 두껍게 끼어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이 많이 막히기 때문에 어두워 보입니다. 구름이 두꺼워지면 구름 안으로 들어오는 태양광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가 오는 날은 보통 밝기가 상대적으로 어두워 보이는 것입니다.

    비가 오는 날은 또한 구름과 물방울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빛이 분산되고, 이로 인해 햇빛이 더 흐릿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오는 날에는 구름이 더 두꺼워지고 밀도가 높아져서 태양 빛이 흡수되거나 반사되는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더 어두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와 먼지가 응집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비가 내리기 전엔 많은 수증기와 먼지로 이루어져 두께가 상당합니다. 구름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빛을 산란하기보다 흡수하게 되는데 지상에 있는 우리 눈엔 산란광이 도달하지 못해 어두운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빛의 산란, 하늘의 색을 결정한다!- 한국연구재단 기초연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