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어쩌라구요
어쩌라구요

우리나라는 왜 주식 배당주가 많이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세나나오입니다.

해외주식을 하다보면 배당주가 상당합니다.

국내주식을 보면 배당주는 거의없기도하고 배당금액도 상당히 낮은데 왜이런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의 배당금 차이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기업의 특성에서 차이가 납니다. 국내 기업은 주로 성장 중심의 경영 전략을 추구해 배당금보다는 투자에 더 많은 자금을 사용합니다. 반면, 해외 기업은 주주 친화적인 경영 전략을 추구해 배당금을 적극적으로 지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시장 환경도 차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국내 주식 시장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기업들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면, 해외 주식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어서 기업들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데 더 유리한 환경입니다.

    셋째, 법적 제도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국내에서는 배당금에 대한 세금이 높아 기업들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면, 해외에서는 배당금에 대한 세금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업들이 배당금을 지급하는 데 더 유리합니다.

    배당주에 투자할 때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전략, 시장 환경, 법적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배당금뿐만 아니라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비교하면 적은 것인데, 미국은 아무래도 주주환원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강한 편입니다. 90%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금 지급을 통해 투자자들이 실제 회사의 주인인 것처럼 느끼게 한다고 합니다.

    인식의 차이인데요. 미국은 기업은 오너의 것이 아닌 주주의 것이라는 인식이 굉장히 강합니다. 전통적 기업문화를 가진 한국과는 차이가 있죠. 한국도 점차 늘어나고 있으니 인식이 바뀌길 기대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은 평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은 말 그대로 자산대비 초과 수익에 대해서 주주에게 환원하는 제도에요.

    대부분의 회사가 운영 및 재투자 하는 수익만 낸 경우 배당이 어렵기도 하구요.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해외 배당주는 우리나라의 삼성, 현대와 같거나 그 이상의 대기업이다 보니 배당을 대부분 실시한다 볼 수 있구요.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대기업은 실제 매해 배당하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는 왜 배당주가 많이 없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국내 주식도 찾아보시면 적지 않은 배당주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조금만 더 검색을 해보시면 좋은 배당주를 만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우리나라에는 배당을 늘리는 기업이 많지도 않고, 대부분의 

    수출 기업 특성상 들쭉날쭉한 이익에 기업의 현금을 나눠주는 배당금(주주환원 정책)을 나눠주기에 여력이 안됩니다. 그리고 정부의 

    높은 세율로 인해 대주주가 상속세나 금융종합과세에 걸려 

    배당을 주는 것보다 지분을 늘리며 기업의 통제권을 갖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렇다 보니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말이 생겨 우리나라는 배당 불모지라고 하며 배당주 투자는 사실 어렵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배당주가 적은 이유는 회사들이 이익을 재투자하는 데 더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는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누는 문화가 강하지만, 우리나라는 성장에 더 신경을 씁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세금 혜택이나 규제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국내 주식시장은 배당보다는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와 해외 주식의 배당 차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기업 문화와 재무 정책: 해외 기업들은 주주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경우가 많아 배당금 지급을 적극적으로 합니다.

    반면, 국내 기업들은 재투자를 통해 성장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 배당금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세제 혜택과 규제: 해외에서는 배당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규제가 기업의 배당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세제나 규제 측면에서 기업들이 배당보다는 재투자를 선택할 때가 많습니다.

    주식 시장 성숙도: 미국과 유럽 등의 주식 시장은 성숙하고 안정적인 반면, 국내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들이 많아 이들 기업이 배당보다는 성장을 우선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는 배당주가 적고 배당금액이 낮은데, 이는 기업들의 성장 중심 경영, 주주 환원 인식 부족,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 높은 배당소득세, 투자자들의 단기 투자 선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하지만 최근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배당을 늘리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정부도 배당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어 배당 문화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는 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