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유연한호랑나비176
유연한호랑나비17624.02.19

절기는 어떻게 정해지게 되었나요?

오늘이 우수라고 하던데 진짜 비가 오고 .이번두 꾸리꾸리한 날씨라네요?절기가 잘 맞는걸 보면 너무 신기한데 .절기는 어떻게 정해진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는 아마도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는다.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이용해 만들어졌으므로 실제 태양의 운행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태양력에서 24절기의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하다. 앞서 말했듯이 농사를 위해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24절기의 명칭을 보면 기후, 그중에서도 농사에 필요한 행위들과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당초 중국에서 쓰던 태음태양력인 대통력에서는 태양이 황도상 가장 남쪽(황경 270˚ 지점)에 있는 날을 동지로 하고, 동지로부터 다음 동지까지의 간을 24등분하여 계산했다. 이렇게 계산하면 각 절기별 시간 간격이 같아진다. 하지만 청나라 때 중국에 들어온 아담 샬(탕약망)을 비롯한 예수회 선교사들이 당시 황제의 명을 받들어 만든 새로운 태음태양력 체계인 시헌력에서는 동지를 기준으로 황도를 15˚ 간격으로 나누어 해당 기준점에 태양의 중심이 맞물리는 날을 24절기로 규정했다.


    지구는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한쪽 초점에 태양이 위치한 타원 궤도로 공전하고 있고 공전 속도도 일정하지 않아서, 24절기별 시간 간격이 계절별로 다르다. 근일점에 도달하는 1월경에는 공전 속도가 가장 빨라서 절기 간 간격도 짧으며, 원일점에 도달하는 7월 경에는 공전 속도가 가장 느려서 절기간 간격도 길다. 현재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시헌력의 기준에 따라 24절기를 계산하고 있다.

    출처 : 나무위키 - 절기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연곤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란 중국의 달력으로부터 유래 되었으며 절기는 태양의 활동과 관련된 시기를 말 합니다.

    이렇게 정해진 시기들은 태양의 경도 변화와 함께 지표면에 중요한 기후적 변화를 일으킵니다.

    때문에 절기와 날씨가 대체로 맞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는 지구의 자전축 경사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지구는 태양에 대해 계절마다 다른 면을 보이게 됩니다.



    지구의 자전축 경사는


    계절 변화의 가장 기본적인 원인입니다.


    태양은 황도라는 궤도를 따라 이동합니다.


    황도는 지구 궤도와 23.5도 각도를 이루고 있습니다.



    태양이 황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구에 비추는 햇빛의 양과 각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절기는 태양이 황도 12개 궁을 지날 때 정해집니다.


    각 궁은 30도씩이며, 총 360도입니다.


    태양이 한 궁을 지나는 데 약 1개월이 걸립니다.


    춘분 태양이 황도의 0도를


    지날 때 (3월 20일 또는 21일) 예요.



    하지는 태양이 황도의 90도를


    지날 때 (6월 21일 또는 22일) 예요.



    추분은 태양이 황도의 180도를


    지날 때 (9월 22일 또는 23일) 이예요.



    동지는 태양이 황도의 270도를


    지날 때 (12월 21일 또는 22일) 이예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사이에는


    각각 3개의 절기가 있습니다.


    이 절기들은 태양이 황도의 30도


    간격을 지날 때 정해집니다.


    춘분과 하지 사이에는 입춘,


    경칩, 우수, 입하, 소만, 망종이 있습니다.


    절기는 자연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농업, 생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절기를 기준으로 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합니다.


    절기는 우리 삶에 깊이 뿌리내려 있으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와 지축의 기울기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 현상을 기반으로 정해집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번 공전하는 기간을 1년으로 하고, 이 기간을 24개의 절기로 나누었습니다. 각 절기는 태양의 황경(지구에서 본 태양의 위치)이 15도씩 이동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이는 계절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는 태양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발생하는 지구의 계절 변화를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태양의 직경이 천구에 나타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한국에서는 24절기가 있으며, 태양의 자전과 공전에 따라 계절이 변화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력’은 24절기에 관한 가장 흔한 오해이기도 하는데요.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참고해 만들어졌으며, 태양의 운행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이 깊습니다. 실제로 양력에서 24절기의 날짜는 매년 거의 일정 합니다

    https://m.blog.naver.com/isugroup/222049678814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