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약 종류와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초기 침해를 진단 받으신 이버지를 모시고 있는 50대 남성입니다. 치매약을 복용하시고 일주일 동안 속이 메스껍고 구토를 하셨습니다. 음식 드시기가 어려워 기운도 약해지셔서 복용을 중단했습니다. 치매약이 병증의 진행을 늦춘다고해서 복용을 중단하기도 고민됩니다. 치매약의 종류와 부작용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치매는 증상에 따라 사용하는 약이 다릅니다.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메만틴 등의 약물이 있습니다. 치매환자에서 부족해지는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는 약들입니다. 리바스티그민 이라는 약의 가장 큰 부작용이 오심구토 입니다.
2. 치매약은 치매자체를 해결하기보다는 치매의 진행을 늦춰주는 약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우선 현재 겪고 있는 불편감이 복용하고 있는 치매약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인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약복용을 중단후에 증상이 사라지는 지를 확인하고 증상이 사라진 후 다시 약을 복용시에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약으로 인한 증상의 가능성이 높기에 처방의를 재방문하시어 약물 부작용을 이야기 하고 약물을 변경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어떤 약을 드신지 알려주셔야 정확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병원에 가셔서 위의 증상들을 말해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진료 예정일이 아니더라도 미리 가셔서 진료받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현재 경증 치매(알츠하이머) 증상에 사용되는 약은 대표적으로 rivastigmine, galantamine, donepezil 성분의 3가지 약입니다.
이 3가지 약의 공통적인 대표적 부작용이 위장장해 인데, 구역, 구토, 설사 등으로 나타납니다. 초기에 복용 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사 선생님과 상의 후 위의 3가지 중 다른 약으로 선택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간혹 3가지 성분 모두에 위장장해를 보이는 환자분이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패취제로 사용하기도 하므로 이는 의사선생님과 상의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현재 치매를 "완치"할 수 있는 약은 없고, 아직 치매에 관하여 많은 연구와 신약 개발이 이루어 지는 중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위의 약들은 치매의 완전 치료 라는 목적이 아니라 치매의 진행을 천천히 지연시키는 목적이 맞으며, 복용을 중단하실 경우 반대로 치매의 진행이 빠르게 진행될 확률이 높으므로 증상 초기부터 약물치료를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아마도 드신 약의 성분이 도네페질일 것으로 보입니다.(아리셉트, 베아셉트 등등)
이 약의 대표적인 부작용이 두통, 구역, 구토 등입니다.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복용법은 자기전에 먹는 것입니다.
자기전에 드셔보시고 그래도 못견뎌하시면 처방의와 상담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