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이네이
이네이23.08.21

외국에서는 형광등을 잘 쓰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외국에서는 형광등을 우리나라처럼 밝게 쓰지 않고 간접조명처럼

분위기있는 주황색상의 조명을 많이 사용한다고하는데요

왜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인 눈이 빛에 약하다고 들었습니다. 형광등의 광색이나 빛의 파장이 눈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에게 형광등이 머리 아픔이나 어지러움,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어서 형광등을 사용하지않고 조명등을 사용한다고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형광등 사용의 증가는 안구 질환을 증가 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잠재적으로 해로운 자외선(UV) 방사선에 눈이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빛의 안전한 범위는 2000~3500K 및 500나노미터 이상인데 일부 형광등은 이 안전 범위를 벗어난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외국에서는 밝은 주광색 형광등을 사용하지 않고 주황색등을 사용하는 이유는 주광색은 낮과 같은 밝기로 밤에 숙면을 방해하고 너무 밝아 눈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회사에서나 학교에서 주광색을 사용하면 집중력을 높이고 업무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기 때문이며 밝으면 청소하기도 용이하고 깨끗해 보이는 장점때문에 주광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외국에서 형광등을 우리나라처럼 밝게 쓰지 않고 간접조명이나 주황색조명을 선호하는 이유는 문화, 디자인,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형성된 것입니다. 이러한 선호도의 차이는 국가별로 다양한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며, 아래에 그 이유를 설명하겠습니다:

    1. 문화와 디자인 감성: 각 국가는 그들의 문화와 디자인 감성에 따라 조명을 선택하고 활용합니다. 간접조명이나 주황색 조명은 부드럽고 따뜻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 여행객들이나 국내 외식객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조명의 기능과 목적: 조명은 단순히 밝기를 제공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형광등은 활동적이고 밝은 조명으로 필요한 공간에서 활용되기도 하지만, 간접조명이나 주황색 조명은 휴식, 회식, 휴양 등 여러 가지 휴식과 즐거움을 위한 장면에 적합합니다.

    3. 생활습관과 관습: 각 국가나 지역의 생활습관과 관습은 조명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부 문화에서는 밝고 화려한 조명보다는 조용하고 고요한 분위기를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반영하여 조명을 선택합니다.

    4. 에너지 절약과 환경 고려: 현대 사회에서는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간접조명이나 주황색 조명은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간주되며, 환경을 생각하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조명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5. 빛의 오염 감소: 밝고 눈부시게 밝은 조명은 빛의 오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보존하기 위해 어둡고 부드러운 조명을 선호하며, 이는 간접조명이나 주황색 조명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처럼 외국에서 간접조명이나 주황색 조명을 선호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문화적, 디자인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은 각 국가나 지역의 가치관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결과물이며,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형광등은 사람얼굴을 창백하게 만들고, 분위기도 차갑게 만들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으며

    집이라는 공간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밤이면, 다들 휴식을 취하는 서양의 문화에서 형광등은 그들의 문화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집에서는 한국처럼 방마다 천장에 형광등달려있지않다고합니다.
    부엌에 형광등긴거 두줄 천장에 달려있기도 합니다
    지하나 페밀리룸정도에 동그란 형광등 천장에 두개 떨어져서 붙어있기도 하구요
    그런데 방(베드룸)이랑 거실(리빙룸), 식탁있는데(다이닝룸)는 보통 스텐드를 둡니다
    거실에는 스텐드 몇개씩 있죠 2개는 기본으로 3개부터 소파있는데 구석에 그렇게 여기저기 둬요
    방에도 긴거하나 두고 작은거 테이블위에 두고
    첨에 한국에서 지내다가 미국오면 어둡고 좀 답답하다고 하네요
    아무튼 외국은 그냥 주광색 전구를 많이 써요
    형광등이 눈에 안좋다는 인식 때문일 수도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