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고독한일개미
고독한일개미22.11.28

스톡옵션의 정의와 절차는 어떻게 진행이 되나요?

그냥 단순하게 스톡옵션은 회사에서 임직원들에게 주식을 나누어준다고 알고 있는데 맞나요?

정확하게 스톡옵션의 의미와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은 회사가 임직원에게 유리한 가격으로 신주를 매수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권리입니다. 스타트업의 큰 장점이지만 주의해야 할 조건이 많습니다.

    스톡옵션 행사기간 및 조건에 상법은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면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정관과 계약서에 조건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상법이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다면 정관과 계약서는 행사가 가능해지는 세부적인 조건이나 행사의 방법을 정합니다.

    상법 : 스톡옵션이 결의된 주주총회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해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정관 : 회사마다 다르며, 보통 확정일(스톡옵션을 최초로 행사할 수 있는 날)로부터 몇 년 후까지 행사할 수 있는지 명시합니다.

    스톡옵션 계약서 : 같은 회사더라도 부여받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근속년수이나 성과 지표 등 구체적인 조건에 따른 행사 가능 수량을 명시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스톡옵션은 비상장기업이 우수한 인재들을 확보하기 위해서 많이 하는 제도 중의 하나입니다.

    스톡옵션은 '주식매입선택권 및 주식매수선택권'이라고 하는데 회사의 주식을 일정 한도 내에서 액면가나 혹은 현재의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임직원에게 해당 회사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그리고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 매입한 주식을 처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것은 '옵션'이기 때문에 임직원은 회사의 주식 가격이 내려가거나 회사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 권리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직원 A에게 회사 주식 1,000주를 1년 뒤에 100원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스톡옵션]를 주게 됩니다.

      1., 1년뒤 회사주식의 가치가 200원이 되어 직원 A는 (100원 X 1,000주 = 100,000원)를 매수하고 이를 바로 200원에 매도하여 100,00원의 차익을 남기게 됩니다.

      2. 1년뒤 회사주식의 가치가 50원이 되어 직원 A는 100원보다 회사의 주식이 더 내려가서 스톡옵션 행사를 포기합니다.

    위의 예시를 보게 되면 회사는 향후 기간을 정해놓고 그 기간 후에 직원들에게 회사의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고 직원은 그 시기에 회사의 주식의 가격을 보고 주식을 살지 말지 결정을 하여서 이익을 남기면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톡옵션이란 기업이 임직원에게 일정수량의 자기회사의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스톡옵션은 정관 및 등기 등을 준비하고 이사회 또는 주주총회에서

    특별 결의 후에 계약서 등을 작성하는 식으로 진행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