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공손한큰고래291
공손한큰고래291

건축설계시 상당외기온도차 계산하려는데 어떤문제 유형을 만져야할까요?

상당외기온도차 공식은 찾았는데 문제를접해보지 못해서 문제유형을 알고 싶어요

사무실 냉방부하라든가 일사량 혹은 어떤것들을 뵈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당외기온도차는 건축설비에서

      냉난방부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상당외기온도차는 실내외의

      온도차와 일사량 환기량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상당외기온도차와 관련된 문제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면

      상당외기온도차도 커집니다.

      실내외의 온도차가 큰 경우 냉난방부하가 커지므로

      더 많은 냉난방 설비가 필요합니다.

      실내온도가 20℃이고 외기온도가 35℃인

      경우 상당외기온도차는 15℃가 됩니다.

      실내온도가 20℃이고 외기온도가 25℃인 경우

      상당외기온도차는 5℃가 됩니다.

      일사량이 클수록

      상당외기온도차도 커집니다.

      일사량이 많은 건물의 경우 냉난방부하가

      커지므로 더 많은 냉난방 설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사량이 1000W/m²이고 외기온도가

      25℃인 경우 상당외기온도차는 27℃가 됩니다.

      일사량이 500W/m²이고 외기온도가 25℃인 경우

      상당외기온도차는 22℃가 됩니다.

      첫 번째 경우의 냉난방부하가

      두 번째 경우보다 더 큽니다.

      환기량이 많을수록 상당외기온도차도 커집니다.

      환기량이 많은 건물의 경우 냉난방부하가

      커지므로 더 많은 냉난방 설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환기량이 10회/시간이고

      외기온도가 25℃인 경우

      상당외기온도차는 27℃가 됩니다.

      환기량이 5회/시간이고 외기온도가

      25℃인 경우 상당외기온도차는 22℃가 됩니다.

      첫 번째 경우의 냉난방부하가 두 번째 경우보다 더 큽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