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굉장한바다표범3
굉장한바다표범3
24.05.09

자동화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자동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산업 구조의 변화와 일자리 창출,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 등이 어떻게 변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자동화는 다양한 산업에 걸쳐 일자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자리 감소:

    자동화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제조업, 농업, 서비스업의 일부 분야에서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가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로봇을 도입하면 생산 라인 작업자의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

    자동화는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 개발, 유지 관리하는 엔지니어, 기술자, 데이터 분석가 등의 새로운 직업이 생겨날 것입니다. 또한, 인간과 협력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자동화 시스템을 감독하는 역할을 하는 직업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자동화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몇가지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자동화로인하여 4차산업 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것입니다.

    각종 로봇기술과 인공지능이 결합산 신기술이 생산현장을 대체할것이며

    기존의 일자리중 자동화가 불가능한 부분은 일자리가 늘어날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의 단순 반복적인 작업은 ai를 활용 함으로써 창의적이고 새로운 일자리로 신규 대체가 될것입니다.

    이제 노동력이 진화함에 따라서 교육도 바뀌게 됩니다.

    자동화시스템을 설계 유지관리하며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인공지능 등과 같은 창의력을 요하는 기술직군의 수요가 높을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기계공학 전문인 박성수 전문가입니다.

    자동화 기술의 발전은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죠. 예를 들어, 제조업에서는 로봇이 생산 과정을 자동화하고, 서비스 산업에서는 인공 지능 및 자동화 소프트웨어가 업무를 자동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의 성격과 경쟁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자동화 기술을 설계 및 유지 보수하는 일자리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는 개발직도 많이 일자리가 늘어났고요.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주문하고 개발직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매뉴얼 등을 작성하거나 직접 알려주는 등 여러 교육 및 훈련을 커스터머들에게 알려드립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노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역량을 늘려가는데 필요한 교육 및 훈련을 받아야하겠죠

  • 질문자님 말씀 처럼 자동화가 진행되고 또한 인공지능까지 겸비 되면 더더욱 일자리는 로봇이 대체하게 될것입니다. 특히 생산직이나 단순 기술직은 대부분 자동화로 대체 될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생산직들의 일자리는 없어지고 자동화 설비를 고치는 엔지니어들만 더 많은 수요가 생기게 될것입니다. 그래서 공장에는 자동화 로봇이 전체 생산을 하고 이런 로봇을 고치는 것도 로봇이 하고 이런 로봇들을 관리하는 일부 엔지니어만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런 변화에 발 맞쳐서 정부에서나 기업에서는 이런 근로자들이 유연하게 직업전환을 할수 있게 직업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고 또한 갑작스러운 변화에 의해서 충격을 받을 것을 대비해서 심리, 제도적으로 완충재를 마련해야할것으로 보입니다.

  • 자동화 기술이 변경됨에 따라 인간은 단순 노동 보다는 해당 기술을 다루는 전문 기술 및 제작 관련된 일자리가 창출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대로 로봇이 대체되는 단순 노동 시장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말이죠.

  • 기존의 자동화는 '공장의 인간노동'을 대체했습니다만

    뇌를 대체하는 AI와 신체를 대체하는 로봇의 등장은

    노동 그자체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즉, 생각해본다면 생산기능을 수행하는 존재가

    굳이 인간이라야 할 필요가 없지요.

    기업입장에서는 로봇노동자는 초기비용만 투자하고 절대 파업도 안하고,

    임금인상도 요구하지 않으면서

    24시간 일하는 완벽하게 니즈를 충족하는 노동자 입니다.

    물론

    생산성이 좋아질지라도 변화를 거부하는 조직내부의 관성

    사람을 고용하기를 원하는 정치적인 움직임

    무인화로 약화되는 기업의 이미지

    이들을 전체적으로 감안할 때

    전면적인 도입은 난항을 겪을 수 있습니다만

    점치 인식전환이 찾아오고 기능이 더욱 완벽해 진다면

    기업에게는 막대한 이익이 보장되기에

    결국 로봇 노동자를 선택하게 되겠습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술 발전은

    창출되는 일자리보다는 , 사라지는 일자리가 많은

    즉, 고용창출보다 고용대체효과가 더욱 클것으로 예상가능 합니다.

  • 자동화공정이 추가될때마다 해당 필요인력의 감소를 사업장에서 요구하는추세입니다 인건비의 상승, 제조원가의절감,생산성향상등의 목적으로 자동화 추진을많이하고있지만 또 새로운곳에서 일자리창출을기대해볼수있지않을까생각이듭니다

    너무부정적인 시선으로만보기보다 시대흐름에 맞게 변화되면 될것같습니다

    제시된 예가 적합할지는 의문이나 과거에 버스안내양이 있었지만 지금은없는것처럼 또 새로운 일자리 창출효과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