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꼼꼼한쿠스쿠스
꼼꼼한쿠스쿠스23.08.08

구름은 왜 그런가요?? 궁금해요

구름은 왜 하얀색으로 보일까요?

어떤원리로 저렇게 하늘위에 구성되어져 있는건가요


그리고 구름은 어떻게 흩어지지 않고

뭉쳐져있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주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빛을 모든 색상으로 균등하게 산란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란은 빛이 입사하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퍼져 흩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빛의 파장 중 일부가 다른 물체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 반사되는 빛이 여러 색상을 혼합한 흰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구름은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구름이 흩어지지 않고 뭉쳐져 있는 원리는 대기 중의 공기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기 안의 공기는 온도와 압력에 의해 움직입니다.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움직임이 구름의 형성을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아래쪽에 있는 공기가 상승 하면서 단열 팽창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수증기가 응결 해 있는 현상 입니다.

    그런데 상승 기류 세기에 따라 뭉게구름처럼 싸여 있는 저 그냥 구름과 흩날리는 구름처럼 흩어져 있는 층운형 구름으로 나누게 되죠. 그중 적운형 구름은 강한 상승 기류 일 때 만들어지고, 층운형 구름은 약한 상승기류에서 형성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