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세속5계와 임신서기석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세속5계와 임신서기석이 화랑도를 통한 인재양성에도 적용되었다고 하는데요. 화랑도의 근본정신으로까지 들어가 있다는건 매우 중요한것으로 그당시에는 생각했다는건데요. 자세한 내용알고싶어요.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속오계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을 말하는 겁니다.

      이 세속오계에는 사군이충(事君以忠)·사친이효(事親以孝)·교우이신(交友以信)·임전무퇴(臨戰無退)·살생유택(殺生有擇)이 있습니다

      사군이충 - 임금을 충성으로써 섬김.

      사친이효 -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

      교우이신 - 벗과 벗 사이엔 믿음이 있어야 함.

      임전무퇴 - 싸움에선 절대 물러나지 아니함.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아니함.

      임신서기석은 임신년에 서약하여 기록한 돌이라는 뜻으로, 비문의 첫머리에 '임신(壬申)'년이라는 간지(干支)가 쓰여 있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비문은 신라 청소년들이 착한 일(충효 실천)을 하고 공부(유교경전 학습)를 열심히 하겠다고 맹세한다는 내용입니다.

      임신서기석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해 기록한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일,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크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상서·예기·전(左傳 혹은 春秋傳의 어느 하나일 것으로 짐작됨.)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라고 되어있습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개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이 귀산과 추항에게 알려준 화랑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이다.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으로 충성과 효도, 믿음, 전쟁에서의 용감함과 생명존중 사상을 강조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속오계는 사군이충, 사친이요,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으로 수나라에서 불교를 공부하고 돌아온 원광에게 화랑 귀산과 추앙이 찾아가 가르침을 받았다고 합니다.

      임신서기석은 신라의 두 화랑이 학문에 전념할 것과 국가에 충성할 것을 맹세한 내용으로 총 74개의한자가 새겨져있는데 한자 배열이 국어 문장 투로 되어있습니다.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나란히 맹세하였기에 기록한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에는 충의 도를 잡아 지속하여 잘못과 실수가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이 일이 실패하면 하늘의 큰 화를 받으리라 맹세한다.

      만약, 나라가 불안해지고 크게 어지러운 세상이 오면 받아들일 수 있는 행위로 맹세한 것이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 상서 예기 전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의 두 화랑 청년이 임신년(壬申年)에 하늘에 충도(忠道)를 지킬 것을 맹세하고, 그 전년(前年)인 신미년(辛未年)에는 유교 경전을 학습할 것을 맹세하는 내용을 새긴 비석인데요.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기록한다. 하느님 앞에 맹세한다. 지금으로부터 3년 이후에 충도(忠道)를 지키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느님께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일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세상이 크게 어지러우면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곧 시경(詩經)·상서(尙書)·예기(禮記)·춘추전(春秋傳)을 차례로 3년 동안 습득하기로 맹세하였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속오계는 신라시대 화랑이 지켜야 했던 다섯 가지 계율이다. 원광법사가 사량부의 화랑 기산과 추항이 가르침을 청하자 내려준 계율이다.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이 그 내용이다. 유교·불교·도교 등 세 가지 사상이 전래되기 전부터 신라에 존재하던 풍류·화랑도 등의 고유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공동체의식과 철저한 의리 정신, 숭고한 희생 정신, 그리고 선량한 인간의 정신을 담은 세속오계가 나온 것이다. 그 당시 신라인들이 가지고 있던 시대정신이 당대의 석학인 원광의 탁월한 식견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