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식시장은 G20 국가 중에서도 유독 약한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당최 미국 증시가 오르면 따라가다 차익 실현 나오고, 미국 증시 빠지면 더 빠져 버리니 정말 증시가 왜 이모양인지 모르겠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주식시장의 선진화되지 못하고 더불어서 주주환원 등이 약하며 지배구조 등의 문제가 있기에 증시 자체가 상승곡선을 보이지 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한국 증시가 약세적인 이유는 기존에 받아오던 코리아 디스카운트 외에 최근 세계 증시를 이끌어 가는 ai반도체 분야가 취약하고 한국이 강한 2차전지 산업이 중국의 대량생산으로 어려움에 빠져있는 이유가 큰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증시가 변동이 큰 이유는 경제 뉴스나 기업 실적 발표에 주가가 크게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투자자들이 이익 실현을 위해 한꺼번에 주식을 파는 경우가 있는 데 그 경우가 크게 작용합니다.
OECD 국가 기준 우리나라의 상속세율은 거의 최고 세율에 달합니다. 대주주 입장에서는 주가가 너무 올라가면 상속세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대기업 오너가나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웬만한 상장 기업들은 주가가 올라가면 가업승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기업에는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그래서 주가 상승에 대한 의지가 오너가에는 크지 않는 것이 한국 주식이 오르지 않는 한가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이 다른 G20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로,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행태가 한국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정치적 불안이나 경제적 불확실성 등도 한국 주식시장의 약세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미국 증시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이유는 한국 경제가 미국 경제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주주에 대한 환원이 다른나라에 비해 부족하고 2024년 예상실적이 다른 국가의 주요기업 대비 다소 부진한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업의 주식이 저평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말이 괜히 생긴게 아닌거 같기는 합니다ㅠ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상장사들이 오너기업들이 많은 관계로 상속문제 때문에 기본적으로 주가가 오르는걸 싫어하죠 그래서 주식소각이나 배당상향같은 주주환원책 또한 싫어합니다 그게 가장 근본적인 이유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현재 정책적으로 불확실성 요소가 있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상대적으로 약세입니다.
먼저 금투세가 도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누구도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며 주식을 하고 싶진 않기 때문에
유입자금이 적고 향후 공매도가 재개 되면 시세도 악영향이기 때문에 섣불리 진입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외에도 주주환원에 인색한 경영진의 의사결정으로 같은 기업의 가치가 있다면 굳이 한국시장에 투자를
하지 않고 미국에 투자를 하게되는 것도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원인입니다.
감사합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다른 주요 선진국보다 약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회사란 주주들을 중심으로 운영이 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주식회사란 대주주나 기업 오너들의 안녕에만 모든 관심을 두고 있기에
주주환원정책도 펼치지 못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