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근면한황로54
근면한황로54

보험은 월급 대비 몇 프로 정도를 넣는 게 좋을까요?

보험은 우리 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넣다 보니, 상품들이 좋아서 급여에서 너무 많이 빠져나갑니다

월급대비 몇 프로 정도 넣는 게 이상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하게 몸관리하고 보험이 없는게 1번입니다 아까운 돈이기 때문이죠

      저희 가족 구성원을 보면 보험을 가입했다가 해약했다가 해서 결과적으로

      아예 보험이 없는 분도 계시고 , 보험이 있어도 한번도 혜택본적 없는 분도 계십니다

      저는 지금까지 낸 돈이 천만원도 넘지만 받은건 100만원도 안됩니다

      그냥 35000원 암보험만 납입중입니다 수입 상관없이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의 적정 비율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보험의 종류, 가입 목적, 가족 구성, 소득 수준, 자산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장성 보험의 경우, 총소득 대비 10% 정도를 납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보험료를 납부할 때는 자신의 소득과 부채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총소득 대비 총부채상환액은 30% 이하, 총자산 대비 총부채는 4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약 부채가 많다면 보험료를 줄이고 부채 상환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부채가 적다면 보험료를 늘리거나 저축이나 투자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성보험기준으로

      평균

      월소득15%내가 적당하다고는 하지만

      이는 건강상태 재정상태등에 따라 상이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락훈 손해사정사입니다.

      딱 월급대비 얼마 이렇게 하기보단 좋은설계사 만나시면 최대한 같은담보 가장싸게 가입하실수있게 도와주실꺼고 나중에 추가담보필요하시면 조율잘 해주실거에요!!

      보통 30대기준 한 평균25-35사이 내는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보험잘봄~ 한석우 보험전문가입니다.

      평균적인 근로소득자의 경우 보험에 10~20%까지는 미래를 위한 투자인 보험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다만, 고소득자의 경우 보험에 투자하는 비율을 더 높여도 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보험에 더 많이 가입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용진 보험전문가입니다.

      월급대비 최대 10%가 적정선입니다.

      그 이상은 과한 가입이라고 판단됩니다.

      20대 기준 평균 급여 세후 월 200

      적정 보험료는 5%~7%정도인 10~15만원 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선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 재무설계의 이론에서는 월급여의 10% 정도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또 처한 상황이 다르다 보니 일괄적인 기준 적용이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험을 보장성과 저축성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구분했을 때, 보장성 보험의 권유 비율이기 때문에 저축성 보험은 필요에 따라 더 많이 가입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되도록 믿을만한 설계사를 추천 받으셔서 본인 상황에 가장 적합한 현금 흐름을 짜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추천" 꾹 한번 부탁드립니다. 답변활동에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가족의 수입에 10%이내에서 납입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래야 납입에 있어서 부담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종숙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보통 소득의 10~15% 정도로 준비하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보험의 가입 목적에 따라 차지하는 비중은 조금씩 다를수 있지만

      보장의 내용으로만 보았을때는 너무 부담이 크게 준비하는것 보단

      납입할수있는 한도 내에서 준비하는것이

      나중에 보험료 낭비가 덜 될것입니다

      너무 무리하게 보험을 가지고 있으면 추후에 부담이커져

      해지하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하거든요

      제대로 된 보장하나를 기둥삼고,

      가족력이라던지 , 가장 걱정되는 부분들을

      추가적으로 충분히 보장 받을수 있도록 갱신형으로

      살을 붙여서 준비하는것이 좀 더 보험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을것입니다

      우선 가지고 계신 보험들을 점검해보시고

      불필요한 부분이나 보험료 대비 보장이 충분한지

      검토해보시고 조정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010.2493.5944 으로 연락주세요

      친절히 상담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