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호화로운꿀벌98
호화로운꿀벌9824.02.03

경제성장율이1.4%로 떨어지면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가 경제성장율이 1.4%로 떨어지면 어떻게되고 경제성장율을.상승시킬 방법은 없는지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경제가 저성장에 빠지게 되면 현재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실질적으로는

      경제가 후퇴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물가상승율 보다는 높은 경제성장율을 유지하여야 국민들과 국가가 전보다 나은

      경제를 살아갈 수 있는데 물가상승률 보다 낮은 경제성장율을 기록한 것은 경제가

      뒤로 후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를 성장시키기 위해 내수시장을 키워야 하지만 출산율 저하 등으로 국내에서 찾기는 어렵기에

      우리나라는 높은 기술력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지향하며 경제를 성장시켜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성장률 1.4%는 경제 규모가 큰 미국(2.5%), 일본(1.9%)보다 낮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경제 규모가 클수록 성장률은 낮다. 반대로 신흥개도국 성장률은 주요 선진국 대비 높은 편이다. 지난 1월 30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1월 세계경제전망(WEO)’을 보면, 인도(6.7%), 러시아(3.0%), 브라질(3.1%), 멕시코(3.4%) 등 신흥개도국(평균 4.1%)은 대체로 주요 선진국(평균 1.6%)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한국의 역대 성장률에서도 1.4%는 이례적이다. 최근 기준으로는 코로나19 대유행 첫해인 2020년(-0.7%)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았다. 이 전엔 2차 오일쇼크가 있었던 1980년(-1.6%),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등 국내외적으로 큰 경제위기가 닥쳤을 때 역성장을 하거나 저조한 성장을 기록했다. ‘잃어버린 30년’으로 평가받는 일본에 성장률이 역전된 것도 외환위기 때였던 1998년 이후 25년 만에 처음이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율이 1.4%로 떨어지면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하지만 하락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한다면 경제성장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부양을 위한 정부 지출 증가, 산업 구조조정, 투자 활성화 등이 경제성장율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게 될수록 우리나라의 경제는 침체로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요. 경제성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를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보니 기준금리를 인하하거나 혹은 수출을 증가시키거나 혹은 국가 주도의 시책사업을 하여 경기부양을 시키는 방법등이 존재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기업들에게 대출도 해주는 등과 더불어서

    법인세 절감, 그리고 고용할 경우에는 세제혜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경제성장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성장율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성장율이 1.4%로 떨어지는 것이 저성장으로 볼 수 있느냐의 문제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만일 저성장이라고 가정한다면

    앞으로 한국 경제의 성장세는 약화되거나 둔화되어서 이런 부정적인 영향이 경제활동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