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14

탄산음료를 흔들고 뚜껑을 열었을 때 기포가 올라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평소 탄산음료를 즐겨 마시는 편입니다.

그런데 항상 흔들리지 않게 조심히 뚜껑을 여는 편입니다.
탄산음료를 흔들고 뚜껑을 열었을 때 기포가 올라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료의 병을 여는 순간 음료 내부와 밖의 압력 차에 의하여 탄산음료에 용해된 이산화탄소가 밖으로 분출되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흔들고 뚜껑을 열면 탄산음료에 충격이 가해져서 녹아있는 이산화 탄소가 더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기포가 확 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음료 안에 용해되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음료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뚜껑이 닫혀있는 동안 음료 안에 물에 용해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뚜껑을 열게 되면 압력이 외부와 같아지며, 음료 내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됩니다.

    흔들게 되면 음료 내부의 이산화탄소 가스와 물의 상태가 혼합되고, 이산화탄소 가스는 액체로부터 빠르게 방출되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기포가 형성되고 음료로부터 기포가 뚜껑 위쪽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기포는 주로 뚜껑에서 열린 공간으로 방출되므로 뚜껑을 열면서 기포가 올라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 탄소가 압력을 받아 밖으로 나가려는 거에요 탄산이 흔들리면 콜라 속에 녹아있던 이산화탄소가 에너지를 받아 밖으로 나가려고 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흔들었을 때 터지는 이유는 흔들릴 때 액체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가 용기 내 빈 공간을 가득 채웠다가 뚜껑을 여는 순간 압력이 낮아지며 쏟아져 나오기 때문입니다.

    탄산음료 안에는 이산화탄소가 들어있으며, 이산화탄소는 고압 상태로 액체에 용해되어 있습니다.

    만일 탄산음료를 흔들게 되면 이산화탄소 분자가 떠오르면서 액체와 공기 사이에서 압력이 변하게 됩니다. 그 때문에 인해 액체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빠르게 방출되면서, 가스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액체와 가스 사이 평형 상태가 깨지며 액체가 확장하고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 안에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들어있는데, 이 가스는 물에 용해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뚜껑을 열면 가스와 액체 사이 압력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면서, 용액과 가스 사이의 평형이 깨어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용액에서 가스가 빠르게 방출되면서 기포가 올라오게 됩니다.

    또한, 탄산음료를 제조할 때 높은 압력에서 가스를 용해시키고, 뚜껑을 닫아 압력을 낮추어 가스가 용액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합니다. 하지만 뚜껑을 열면 압력이 낮아져 가스가 용액에서 자유롭게 방출되면서 기포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흔들고 뚜껑을 열면 기포가 올라오는 이유는 탄산화된 이산화탄소 (CO2) 가스가 압력 차이에 의해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탄산음료에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습니다. 뚜껑이 닫혀있는 동안에는 압력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용액에 녹아있고, 용액 안에 있는 기포로서 존재합니다. 그러나 흔들게 되면 액체와 기체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면서 기포가 뚜껑을 열면서 급격하게 방출됩니다. 이로 인해 기포가 올라오고 거품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수를 흔들면 탄산음료에 흔드는 에너지에 의해서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가 음료 밖으로 나와 기체가 되면서 탄산음료 안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뚜껑을 열면 압력에 의해서 밖으로 빠리게 분출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