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비빙
비비빙23.02.19

안개가 어떻게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비가 오기전이나 비가 안와도 생기고 높은곳에 올라가도 바다에 가도 안개가 생기던데 어떻게 생기는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아시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이슬점 온도랑 같아 응결되는건데 단지 높이의 차이입니다. 지표 근처에서 응결되면 안개입니다

    구름생성원리랑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지면 근처의 공기가 수증기 형태로 포함된 모든 수분을 보유할 수 없을 정도로 냉각될 때 형성되는 구름의 한 유형입니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응축되어 눈에 보이는 안개 또는 안개를 형성합니다.

    지면 근처의 공기가 안개를 형성할 정도로 식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복사 냉각을 통한 것인데, 이는 해가 진 후 지구 표면이 급속히 냉각되는 맑고 고요한 밤에 발생합니다. 지면이 차가워지면 지면과 접촉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공기가 더 차갑고 밀도가 높아집니다. 공기가 충분히 차가워지면 포함된 모든 수분을 더 이상 보유할 수 없으며 안개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안개가 형성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이류를 통해서입니다. 이것은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수역이나 차가운 육지와 같은 더 차가운 표면 위로 이동할 때 발생합니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식으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안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중에는 수증기가 존재하는데, 수증기가 많은 날에는 온도에 의해서 응결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작용이 지표가까이에서 일어나면 공중에 작은 물방울로 형성되고 우리시야에는 안개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