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퇴직연금 가입이 필요할까요?[IRP 등]
IRP의 경우 소득공제가 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후에 연금을 받을 때 연금소득으로 소득세가 나가지 않을까요?
그렇게 되면..금리를 고려하였을 때 가입하지 않는게 더 이득이 아닌가 싶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개인에게 당해 과세기간에 소득이 발생한 경우 개인인 근로자인 경우 또는
종합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당헤 과세기간에 납입하는 연금계좌세액공제
대상인 세제적격연금저축 및 개인형 퇴직연금(IRP) 납입액에 대하여 2023년
납입분부터 900만원(연금저축은 600만원) 범위내에서 12%(지방소득세 1.2%
별도) 또는 15%(1.5% 지방소득세 별도) 연금계좌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만 5년이상 납입 후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소득으로 수령시 만 55세 이상 만 70세
미만에서 수령시 5.5%, 만 70세 이상 만 80세 미만에서 수령시 4.4%, 만 80세 이상
에서 수령시 3.3% 원천징수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득자의 재정상태, 노후생활 자금에 대한 필요성, 절세 금액 등에 대하여
심사숙고하여 가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퇴직연금에 불입할 경우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추후 연금으로 수령했을 경우에는 3%~5%의 낮은 세율이 부과됩니다. 단순히 불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연금계좌에서 미국지수 등을 추종하는 etf를 사면 미래 수익금은 물가상승률보다는 훨씬 상당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