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 거란 전쟁에서 강감찬의 최후의 모습은 어땟나요?
고려 영웅 강감찬의 삶과 그의 마지막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또한 강감찬의 후손 중 유명한 분이 계셨는지도 궁금하네요. 답글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쟁이 끝난 뒤 강감찬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사직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현종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사흘에 한 번만 조회에 나오게 하는 등의 특전을 베풀며, 검교태위(檢校太尉) 문하시랑동내사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식읍삼백호(食邑三百戶)로 봉하고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으로 삼았다. 1020년(현종 11)에 강감찬은 다시 사직을 청하였고, 이에 현종은 사직을 허락하며 그를 특진검교태부(特進檢校太傅)·천수현개국자(天水縣開國子)·식읍오백호(食邑五百戶)로 올려주었다.
그러나 사직 후에도 정치계를 완전히 떠난 것은 아니어서, 이후에도 강감찬은 개경에 성곽이 없으니 나성(羅城) 을 쌓자고 건의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030년(현종 21)에는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임명되었고, 현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덕종[고려](德宗) 은 강감찬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추충협모안국봉상공신(推忠協謀安國奉上功臣)으로 삼고 특진검교태사(特進檢校太師)·시중(侍中)·천수군개국후(天水郡開國侯)·식읍일천호(食邑一千戶)로 올려주었다. 얼마 뒤에 그가 84세로 세상을 떠나니, 조회를 3일간 정지하고 백관에게 장례에 참석하도록 했으며, 인헌(仁憲)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뒤에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아들은 강행경(姜行經)이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