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궁금증 효자손
궁금증 효자손23.10.02

경제 GDP가 정체 됐을 때 각 국가들이 부동산을 상승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동북아시아의 경우에는 GDP 성장이 지체됐을 때 부동산을 상승시켜 경제를 견인 하는 모습이 보여집니다. 대표적으로 중국과 한국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역시도 마찬가지고요

이게 단순히 성장동력이 떨어져서 돈이 자산으로 유입되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GDP 성장을 해야지 발전이 가능하기에 정부가 주체적으로 주도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 등 인프라 건설을 통하여

    고용을 늘리기도 쉽고 이에 따라서 경제도 발전시키기

    다소 좋기에 부동산을 키우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부동산은 정부주도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가 정체되는 경우 부동산을 상승시켜서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것은 기업들의 실적 부진으로 인해서 외부 성장이 막힌 경우에 화폐의 가치 하락과 상대적인 부동산 자산의 가치 상승을 일으켜서 표를 얻기 위한 정책이라고 보시면 되요. 제일 손쉽게 성장을 견인하는 방법이 부동산이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