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의로운청설모105
의로운청설모10523.07.09

달의 뒷면은 크레이터가 많은데 앞면은 왜 별로 없나요?

달의 뒷면과 앞면의 생김새가 많이 다르더라고요. 소행성이 충돌하면 고르게 충돌할 것 같은데 왜 그런 차이가 나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공통적으로 크레이터가 많지만 달의 앞면과 뒷면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어두운 부분! 즉, "달의 바다"입니다. 앞면에는 달의 바다가 많지만 뒷면은 거의 없습니다. 여기서 "바다"는 실제의 물이 있는 것이 아니라 평탄하고 어둡게 보이는 지형을 바다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이 뒷면과 앞면이 다른 것은 달의 형성과정과 진화 과정에서 생긴 달의 지각 두께의 차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미국 펜실페이니아 주립대의 천체물리학자들이 가설을 세우고 설명을 한 것입니다. 달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유력한 설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달 거대 충돌설"입니다.

    지구가 형성된지 얼마 되지 않았던 때에 화성 크기만한 거대한 천체 일명 "테이아"가 지구에 충돌해 부서지면서 나온 파편으로부터 달이 탄생되었다는 설입니다.바로 여기서부터 달의 뒷면과 앞면이 다른 이유를 설명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결국 달은 지구의 중력을 받고 항상 같은 면을 유지하면서 지구를 공전하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릴수 있겠습니다.

    달은 지구의 중력 영향권에 있다보니 같은 면을 보이며 도는데..앞면은 주로 바다로 이루어진 낮은 지대로서 바다와 큰 분화구로 구성된

    반면에..뒷면은 훨씬 더 많은 크리에이터와 특이한 지형이 있습니다.

    말씀대로..천체의 충돌로 인한 크리에이터 형성과 자화현상,용암활동이 적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하네요.

    결론적으로..앞면은 지구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뒷면은 지구력학적 영향이 적은 상태로 지질학적 변화가 적게 발생된 상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ㅎ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조석고정이라는 현상에의해 항상 지구를바라보며 지구를 공전하기때문에, 크레이터를 만드는 외계소행성들이 달의 뒷면쪽으로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뒷면에 크레이더가 많은 이유는 달의 공전과 자전주기가 같아 항상 같은 면만 지구로 향해 그렇습니다 그래서 달의 뒷면은 항상 우주쪽을 향하고 있어 앞면에 비해 유성의 충돌이 잦아 크레이터들이 더욱 많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앞면과 뒷면이 생김새가 다른 이유는 "조성 동결" 또는 "조성 그라데이션"이라고 불리는 과정에 기인합니다. 이는 달이 형성될 때 발생한 과정과 달의 자전 속도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달이 형성되었을 때는 많은 소행성들이 충돌하면서 물질을 충분히 혼합시켰습니다. 이렇게 혼합된 물질이 점차적으로 달 내부로 부각되면서 달의 표면에는 풍부한 휘석석류(Mare)와 암석이 형성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밀도가 높은 휘석석류는 주로 달의 앞면에 분포하고, 밀도가 낮은 암석은 주로 달의 뒷면에 분포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달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항상 같은 면을 향해 고정된 자전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끌어붙인 자전"이라고도 합니다. 자전 주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달의 앞면과 뒷면은 서로 다른 조건에서 형성되었으며, 자전에 의한 지표면의 형태도 다르게 발전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달의 앞면과 뒷면은 서로 다른 지형과 특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달의 앞면과 뒷면의 생김새가 다른 것은 초기 형성과정과 자전에 기인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달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