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를 하는 기업은 위기상태 인가요?
코로나로인한 경기가 악화됨에따라 웃는 기업도 있는 반면 펑펑우는 기업이 있는데요
코로나가 종식되면 다시 살아날 가망이 있는 기업의 경우 유상증자를 택하는 모습이 자주 보입니다.
총 두식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추후에 영업이익이
기존보다 많이 생기지 않는이상 주가상승은 힘들지 않나요? 투자하기가 조심스럽네요..
저가일때 사야하는지..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가 중요할듯합니다. 회사가 사업을 확장하고싶은데 돈이없어서 증자를 할수도있고, 대출이나 빚이 많아 어쩔수없이 증자를 하는경우가있는데, 또는 제3자배정을하기위한 유증방식도있구요. 그 이유가 타당하고 호재라고 생각된다면 주가는 상승하겠지만 그렇지않다면 단기적으로 하락할 확율이 높을듯합니다.
유상증자한다고 꼭 위기기업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으나, 유상증자로 자금조달하는게 시장에 부정적인 시그널을 주는건 맞습니다.
투자를 하든 빚을 갚기 위해서든 유상증자의 목적도 중요합니다만, 해당 기업이 충분한 유보금이 없거나 대출을 더 받기 힘들고 사채발행도 힘들고, 재무구조상 부채를 늘리기 부담될 때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제 3자에게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기존 주주들도 지분율이 줄어들고, 말씀하신대로 총 발행주식수가 늘어나서 주당 이익(eps)도 줄어들죠.
DART라는 금감원 공시 사이트가 있는데, 상장사는 여기다가 공시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해당 사이트에서 해당 기업의 재무제표와 상황을 파악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주식질문 답변가 부자아빠입니다.
주가라는게 항상 빠르게 반영되니.. 뭐 어느 것이 정답이라고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항공사/여행사같은 경우 사실 단기간에 망할뻔한 상황인대 유상증자로 버티기 자금을 마란하였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써 주가는 코로나 이전을 회복하고 뚫고 지나갔습니다...
주가를 완벽하게 이해할려고하면 솔직히 어려운 것 같습니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주가들이 일단 너무 많아요.
상대적으로 비싼 기업들도 많지만 또 반대로 너무 싼 기업들도많아요..
아무리 할인율을 준다고 할지라도 지주사/금융사들이 이렇게나 저평가를 받아야할 일인가에 대해서도 의구심이 들구요.
결국 투자자가 해야될일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 보다.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좋은 기업을 골라 투자하는거라는게 제가 내린 결론입니다.
어려운 기업들을 잘 살펴서 살아나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것도 괜찮은 투자 방식이지만 그런 투자는 리스크를 많이 내포하고 있으니
열심히 공부하셔서 정말 장기비젼이 있는 기업을 선택하셔서 투자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