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05.03

가야 나라는 어떻게 망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고대 삼국지시대에서 가야라는 나라도 있었던것으로 아는데 가야 나라는 어떻게 멸망한건지 알고 계시는분 설명 부탁드릴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세기에 들어오면 가야를 둘러싼 국제관계가 크게 변하였습니다. 한강유역을 잃은 백제는 그 보상을 낙동강유역의 가야 땅에서 찾으려 하여 이 지방에 대한 적극적 진출을 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백제의 움직임은 신라를 자극하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백제가 신라를 견제할 목적으로 가야에 대해 강한 야욕을 품고 있던 왜를 끌어들이게 되자 가야 여러 나라는 또 다시 격렬한 국제관계의 소용돌이 속에 빠지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아마 대가야는 이 당시 소백산맥 이동지역의 여러 나라를 포섭하여 연맹체를 형성한 후, 소백산맥 서쪽으로의 진출을 도모하여 일시적으로 백제의 남원·임실지역의 공격에 성공하였으나, 백제의 반격과 외교적 술책으로 인하여 실패하고 오히려 하동 지역까지 위협받게 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백제의 적극적인 진출에 대해 가야 여러 나라의 맹주인 대가야가 반발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법흥왕 때 대가야왕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 혼인을 요청한 것은 바로 백제를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신라에 접근하기 위함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후 신라의 법흥왕은 적극적인 남진정책을 추진하여 남경을 순수하여 영토를 개척하였는데, 이 때 가야왕은 법흥왕에게 회견을 요청하였습니다. 이 때의 가야왕이 대가야의 왕인지 아니면 금관가야의 왕인지는 분명치 않습나다. 이를 금관가야의 왕으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전후 사정으로 보아 대가야로 보는 견해가 타당하다고 봅니다. 이로 보아 법흥왕까지는 신라와 대가야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는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후 이찬 비조부의 누이와 함께 가야지역으로 파견된 신라인 문제가 되어 대가야와 신라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자, 신라는 한때 동맹을 파기하고 왕녀를 돌려보낼 것을 요구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대가야에 의해 거부되지만 신라는 이를 빌미로 8개의 성을 함락시킵니다.

    이렇게 가야의 동남부지역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킨 신라는 법흥왕에 드디어 김해의 금관가야를 병합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