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용 쥐가 모두 하얀색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TV나 영화에서 보면 실험용 쥐는 모두 흰색을 띠고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렇게 흰색 쥐 만 이용하는 것이 무슨 이유가 있는지 그것이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특히 흰 쥐가 인간의 유전자와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실험용 흰 쥐와 인간은 90%이상 유전자가 일치한다고 하네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TV나 영화에서 보면 실험용 쥐는 모두 흰색인데 실제로 흰색인 것은 아닙니다.
TV나 영화에서 실험용 쥐로 흰색을 구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쥐는 사람과 유전자가 99% 정도 같습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80%의 유전자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9%는 매우 닮았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사람과 쥐의 유전자 가운데 완전히 다른 게 한 1%밖에 안 되는 것입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아무래도 사람이 특정 질병이 걸렸을 때 유전적으로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보려면 쥐를 이용하는 게 가장 유리한 겁니다. 또 쥐는 다산의 상징으로 꼽히는데, 번식력이 아주 뛰어납니다.
우리가 보는 쥐 중에 가장 많은 실험용 쥐가 이 흰쥐인데, 우선 실험용 쥐는 크게 마우스와 래트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둘 다 같은 설치류지만 보통 래트가 마우스보다 좀 더 크고요. 얼굴이 짧은 편입니다. 대부분 그냥 '쥐' 이렇게 통일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마우스나 래트 모두 흰색에 흰 쥐가 많지만 실제로는 검은 털을 가진 쥐도 있습니다, 실험용 쥐에는 털이 없는 쥐, 이른바 '누드 쥐'라고 부르는 그런 쥐도 있습니다. 이런 쥐의 종류는 이 목적이 어떤 실험을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입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쥐 중에 가장 많은 실험용 쥐가 이 흰쥐인데, 우선 실험용 쥐는 크게 마우스와 래트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둘 다 같은 설치류지만 보통 래트가 마우스보다 좀 더 크고요. 얼굴이 짧은 편입니다. 대부분 그냥 '쥐' 이렇게 통일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론 마우스나 래트 모두 흰색에 흰 쥐가 많지만 실제로는 검은 털을 가진 쥐도 있고요, 실험용 쥐에는 털이 없는 쥐, 이른바 '누드 쥐'라고 부르는 그런 쥐도 있습니다. 이런 쥐의 종류는 이 목적이 어떤 실험을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거죠.
우선 쥐는 사람과 유전자가 99% 정도 같습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80%의 유전자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고요. 19%는 매우 닮았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사람과 쥐의 유전자 가운데 완전히 다른 게 한 1%밖에 안 되는 거죠.
이런 특징 때문에 아무래도 사람이 특정 질병이 걸렸을 때 유전적으로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보려면 쥐를 이용하는 게 가장 유리한 겁니다. 또 쥐는 다산의 상징으로 꼽히는데, 번식력이 아주 뛰어납니다.
보통 한 번에 5마리에서 10마리 정도, 또 많게는 15마리까지도 새끼를 낳는데요. 임신 기간이 3주 정도밖에 안 되고요. 분만 후에는 바로 다시 임신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