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수수한솔개23
수수한솔개2324.02.01

금속에 시간이 지나면서 녹이 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자전거나 다른 금속으로 된 물체를 가만히 놔 두고 나중에 와서 보면 대부분 붉게 녹이 슬어 있는데, 왜 금속은 시간이 흐르면 녹이 슬게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부식은 금속이 산소와 반응하여 일어나는 화학 반응입니다. 산소는 우리 주변에 많이 존재하며 금속과 반응하면서 산화물이라는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 산화물이 바로 우리가 보는 녹의 색깔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금속의 화학적 성질 때문입니다. 금속은 전자를 쉽게 잃어버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소는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속과 반응하면서 전자를 빼앗아 갑니다. 이렇게 전자를 잃은 금속은 이온이라는 물질이 되고 이 이온들이 모여서 산화물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금속이 녹이 스는 속도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철은 산화물이 더욱 안정적이기 때문에 녹이 스는 속도가 빠릅니다. 반면 알루미늄은 산화물이 덜 안정적이기 때문에 녹이 스는 속도가 느립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금속을 산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금속 표면에 코팅을 하거나 부식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금속이 시간이 지나면서 녹이 스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은 산화반응으로 인해 녹이 생성됩니다.

    자연상태에 놓은 금속은 철과 산소가 만나게 됨으로 산화반응이 일어나는데 철이 산화되면서 산화철으로 변해 녹이생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철이 녹스는 것 입니다.

    철이 공기에 노출되면 산소와 만나며 Fe2O3 또는 FeO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것은 산화철로, 붉고 검은색이며 이를 보고 우리가 흔히 녹슬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들은 산소와 반응하고 싶어하는 특징이 강하기때문에, 공기중의 산소나 물속에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금속이 됩니다.

    이 산화 금속은 기존 금속의 성질을 많이 잃어버려 광택이 사라지고 부숴지는 특성이 되버려 우리가 부르는 녹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