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23.03.14

인공강우로 비를 내리게하는 기술은 어디까지 왔나요?

사람이 살아가는데 물이 없으면 살수가 없고 최근들어 비가 오지않아 어려움이 많은데요. 이때 비라도 내려면 좋을텐데 비가 오지않아 물부족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인공강우로 비를 내리게 하는 기술은 어디까지 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강우 기술은 기상 조절 기술 중 하나로, 인공적인 방법으로 비를 유도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기후 변화, 물 부족, 대기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인공강우 기술은 여러 나라에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는 '웨더 모디파이케이션'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주로 미국과 중국에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기 중에 있는 물방울을 인공적으로 유도하여 비를 만들어냅니다.

    이외에도 '클라우드 시딩' 기술이 있습니다. 이 기술은 물방울이나 결정체 등의 입자를 대기 상에서 뿌리거나, 비행기나 드론 등에서 물방울을 살포시켜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을 인공적으로 유도하여 비를 유발하는 기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강우 기술은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여전히 실험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인공강우 기술은 주로 클라우드 시드링(cloud seeding) 기술을 이용하여 구름에 화학물질을 뿌려 비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클라우드 시드링 기술은 과학자들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그 효과에 대한 분석과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현재까지는 지리적 제약이 있으며, 비를 유도할 수 있는 구름의 종류와 적정한 화학물질을 뿌려야 하는 양 등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강우 기술은 아직 실험적인 기술이며, 그 효과와 안전성 등이 보장되어야 실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강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인공강우 기술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1946년 미국 General Electric(GE) 연구소의 쉐퍼(Schaefer)는 실험실에서 냉각상자의 온도를 급격히 떨어트리기 위해 드라이아이스 조각들을 떨어트렸을 때 작은 얼음결정들이 생기는 것을 목격하고 인공강우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처음으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구름 속으로 드라이아이스를 살포하여 인공강우 실험에 성공했다.



    1947년 Benard Vonnegut가 요오드화은(AgI)이 얼음결정과 비슷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착안하여 인공강우용 구름씨(빙정핵) 역할의 물질로써 적당할 것으로 판단하여 AgI 연소기를 개발하여 인공강우 항공실험에 성공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세계 곳곳에서 인공강우 실험이 진행되고, 빙정핵역할로 효율적인 물질들이 학계에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빙정핵은 경제적 요인(수급, 획득률, 가격 등), 구조적 요인(분자 결정 구조 등), 화학적 요인(포화수증기압 등)으로 인해 드라이아이스(CO2), 요오드화은(AgI), 요오드화납(PbI2) 등이 활용된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강우 기술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강우 시스템은 "워터제트"라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인공 강우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농업에서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거나, 공업에서는 대기 중 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대기를 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인공강우 기술은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물을 뿌려 대기 중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인공강우 시스템은 농작물 재배와 관련하여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농업용 인공강우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강우 기술은 여전히 발전해야 할 여지가 많습니다. 특히, 인공강우 시스템이 대규모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인공강우 시스템을 이용하여 너무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할 경우 물 부족 문제를 악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공강우 시스템을 개발할 때는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물을 사용하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 강우로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가뭄을 해소하는데 효과라를 내려면 강수량이 시간당 10㎜ 이상 돼야 하는데 현재 기술 수준은 이에 못 미칩다. 다양한 기술을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