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일반적으로 금속 표면에 물리적인 표면 가공을 하면 산화가 더 빠르게 일어나나요?

회사 업무를 하던 중 너무 궁금한 사항이 벌어지고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스텐레스나 도금 판재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회사인데요..

정상적인 제조 공정을 통해 만들어낸 스텐레스나 아연도금제품을 그대로 놔두는것보다

이들 판재 제품의 표면을 디자인감을 주기 위해 사포같은 것으로 표면 마찰 가공을 한 후 놔두면

그냥 놔둔것에 비해 급속도로 표면 산화가 빨리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이런 현상은 대부분의 금속에 동일한 현상인지요? 또한,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표면에 코팅처리가 된 것이 아니라면, 사포나 기타 표면을 물리적 가공을 할 경우 매끈한 면에 비해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이는 산화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요인으로 기존면 보다 가공한 후 더 빠른 산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마찰 가공 후 산화 속도 증가는 특정 금속에만 나타나는 현상 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과 아연 도금 강재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마찰 가공 후 산화가 빨리 일어나는 이유는 마찰 가공은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 표면적을 늘리게 되고 넓어진 표면적은 산소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산화 속도를 높이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