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02

과거 불교에 조계종과 천태종이 있었는데 교리에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고려시대에 불교가 국교로 있을때 조계종과 천태종이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요. 이 두 교리는 불교라는 공통이 있지만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태종은 동아시아 불교의 대표적인 종파이다.

    '천태종'이라는 명칭은 6세기의 승려로서 '지의'가 거주하며 가르침을 폈던 중국 동남부의 산에서 유래한다. 이 종파의 기본 경전은 '법화경(法華經)'이며, 이 때문에 '법화종'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계종(曹溪宗)의

    공식적인 중흥조는 고려말 태고보우(太古普愚)이나, 보조국사 지눌(知訥)이 13세기초에 조계산(曹溪山)에서 수선사(修禪社)를 열고 선풍(禪風)을 크게 진작시킨 때부터 조계종이 시작된 것으로 보는 학설도 있다.

    -출처:서울투데이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태종과 조계종의 차이점을 보면 첫째, 천태종은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통합하려 하였고, 조계종은 선종을 바탕으로 교종을 통합하려 하였습니다. 따라서 천태종을 창시한 의천은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제창하였고, 조계종을 창시한 지눌은 정혜쌍수(定慧雙修)와 돈오점수(頓悟漸修)를 제창하였습니다. 둘째, 천태종의 교선 통합은 조직만을 통합한 불완전한 통합이었지만, 조계종의 선교 통합은 교종과의 조화를 주장하였기 때문에 선교일치의 완성된 철학체계를 이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