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10~20년뒤에 농촌이 사라질거같은데 정책이 필요한거아닌가요?
지금 시골에 내려가면 거의다 70~80대 어르신들만계시는데
젊은층이있어봐야 한마을에 한둘있을까말까고, 농사도 그나마 젊은 50~60대분들이 몰아서 짓고있는데 이러다가 시골망하면 수입물품들 가격들은 올라가고 경제가 더 침체되지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농촌소멸 대응 추진전략의 핵심은 농촌에서의 창업, 워케이션, 4도3촌 등의 수요 증가를 바탕으로 농촌공간을 사람·기업·자원·사회서비스 등이 융·복합되는 기회의 장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전략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농촌이 될 수 있도록 일자리 및 경제 활성화, 생활인구와 관계인구 창출, 농촌 삶의 질 혁신 등 3대 전략을 통해 창의적 공간, 스마트 공간, 네트워크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세부정책을 시행하겠다고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농촌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여러 정책도 있고 지방정부 주도하에 여러 방법을 쓰고 있지만
이 정책들이 효력을 발휘하고 있진 못합니다
우회하여 완전 귀농이 아닌 3일은 농촌 4일은 도시에 생활하도록 하는 별장형으로 시골에 집을 두게하여
이에 대한 규제를 완전히 풀어줬습니다
또한 움막에 대한 규제도 향후 풀어줄 것으로 예상되며 농촌이 죽지 않게 노력은 하고 있지만
농촌의 최소 50%는 사라질 전망인 것은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소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농업 기술 등으로 농업혁신, 지역 특산물 등을 활용한 지역기업 육성, 생활 인프라 확충 및 문화복지시설 확대 등의 정책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농촌의 지속 가능성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입니다.
농촌이 사라질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타당합니다.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 유입 정책: 농촌 지역에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농촌에서 창업을 원하는 청년들에게 자금을 지원하거나, 농업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농업의 매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농업 지원 정책: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혁신, 스마트 농업 기술 도입, 농업 연구 및 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생활 인프라 개선: 의료, 교육, 교통 등의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여 농촌 지역에서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의 매력을 높이고, 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 유치: 농업 이외의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 경제를 다변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농촌 관광, 친환경 에너지, 수공예 산업 등 다양한 산업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정책적 지원과 협력: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종합적인 농촌 발전 계획을 세우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 지역에서 인구 고령화와 농업 인력 부족 문제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젊은 세대가 시골에 남아 활동하고 농업을 유지하는 것은 지역사회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농업 생산량이 감소하면 수입물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고, 지역 경제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사회가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가 시골에 남아 활동할 수 있는 환경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현지 정부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0-20년 뒤에 농촌이 사라질 수 있는 것에 대한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부에서는 그런 일들을 대비해서 귀농하는 이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등으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에 젊은 사람들이 적어지면 농사를 짓는 사람이 줄어듭니다. 그래서 농산물 생산이 줄어들면, 우리가 먹는 식료품의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수입에 의존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골을 살리기 위해 더 많은 젊은 사람들이 농촌으로 돌아가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