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4.01

조선시대에도 출생신고를 했는지 알고 싶어요

현대사회에서는 사람이 태어나면 출생신고를 하잖아요 궁금한거는 옛날 조선시대에도 사람이 태어났을 때 출생 신고를 했는지 그것이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출생, 사망신고는 우리나라에 호적제도를 시행하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호적은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본토에 있던 호적을 그대로 가져온 제도입니다.


    일본인들은 호적부를 보면 일 가의 구성원 및 세부사항까지 볼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초창기의 호적은 현재의 가로쓰기가 아니라 세로쓰기 형태였습니다.


    세로로 쓰여진 호, 제적부가 많이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도 호패라는게 있었지만.


    호패는 신분증역할만 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호적전에는 특별한 출생, 사망신고가 없었다고 판단됩니다.


    출생은 문앞에 금줄을 통해 알리고, 상가등을 통해 사망을 알렸다고 보여집니다.


    이것이 그 시대의 출생, 사망신고 비슷한 형태가 아닐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호적은 식년(式年)인 3년마다 개편하였는데, 개편할 때에는 각호(各戶)에서는 호구단자(戶口單子)라는 호구신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호적제도가 완비된 때는 1428년(세종 10) 호구성급규정(戶口成給規定)과 호구식(戶口式)을 제정하면서이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출생신고제도라는 것은 없었고

    호주가 쥐띠, 토끼띠, 말띠, 닭띠의 해에 작성해서 바치는 호구단자에 출생자의 이름을 올리면 이를 통해서 관에 보관중인 호적대장에 이름을 기입함으로써 그 존재를 법적으로 인정받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요즘처럼 별도의 출생신고제도가 없었다고 합니다. 대신에 호주가 쥐띠ㆍ토끼띠ㆍ말띠ㆍ닭띠의 해에 작성해서 관에 바치는 호구 단자에 출생자의 이름을 올리고, 이를 근거로 관에 보관중인 호적대장에 이름이 기입되면 그 존재를 법적으로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출생 신고를 이렇게 호적 대장에 올리는 일은 동네에 이장격인 이정들의 역할 이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지금 처럼 꼭 출생신고를 하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아들 딸이 몇인지 호구 단자를 관청에 신청했던것은 있습니다.

    그전 고려시대에도 비슷한것도 있었다고 전해 집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출생, 사망신고는 우리나라에 호적제도를 수행하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호적은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본토에 있던 호적을 그대로 가져온 제도 입니다.

    조선시대에는 호패 라는 게 있었지만 호패는 신분증 역할만 하였습니다. 호적 전에는 특별한 출생, 사망신고는 없었으며, 출생은 문앞에 금줄을 통해 알리고, 상가 등을 통해 사망을 알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출생 신고제도가 없었습니다. 대신, 세조때 처음으로 '호적제도'가 도입되어 매년 종묘에서 시행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한 해에 한 번씩 모든 가문의 가족들이 자기 소속을 밝혀 등재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출생 신고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현대와 달리 출생 신고나 주민등록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출생이나 사망, 이전 등의 인적 사항은 대개 가족 구성원이 상호간에 알고 있었습니다. 이후 국가가 중요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 이후의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출생신고가 없었습니다. 대신 출생, 사망 및 기타 중요한 사건에 대한 기록은 지방 관리가 보관하고 가족 족보에 보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