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5.25

플라스틱이 불에 의해서 쪼그라드는 원리가 뭔가요??

어제 설거지 하고 플라스틱병을 에어프라이기 옆에 두었더니 열기에 의해서 쪼그라 들었던데,,,ㅜㅜ 암튼 플라스틱이 불에 의해서 쪼그라드는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에 탄다는 것은 산소와 결합해 산화가 폭발적으로 일어 난다는 뜻입니다.


    분자 구조가 단순한 메탄,에탄가스나 알코올류를 불에 태우면 물과 이산화 탄소로 나누어 집니다.



    반면 분자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한 물질로 되어 있는 플라스틱을 태우면 완전연소 하지 못하고 그을음으로 남게 됩니다. 이 그을음이 질문자님 눈에 검게 보이겠지요



    그을음의 성분은 불완전 연소한 플라스틱, 플라스틱안에 들어가는 다양한 첨가제 일 것입니다.


    몸에 좋지 않으니 가까이 하지 마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이 불에 의해서 쪼그라드는 이유는 플라스틱이 열을 받으면 분자가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하고 이 가스가 날아가며부피가 줄어들어 쪼그라드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유기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불이 접촉하면 플라스틱 분자는 열에 의해 분해되기 시작합니다. 고온에서 분자 간의 결합이 약화되면 플라스틱은 부분적으로 녹거나 유체 상태로 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고분자로 이루어진 물질로, 이 고분자 사슬은 강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열에 노출되면 분자들은 더 큰 운동 에너지를 얻고, 분자 사이의 결합이 약해지면서 분자 간 거리가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플라스틱은 열에 의해 수축하고, 쪼그라들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자주 보는 페트병을 예를들자면 열을 가하면 물렁물렁해지고 좀 더 온도를 올리면 녹는다는 표현은 좀그렇고 찐덕찐덕한 액체타입으로 전환되는데요. 이렇게 변화게 되는 온도를 유리전이도라고합니다. 왜냐면 투명한 플라스틱 경우 보통 녹는점이없습니다. 녹는점대신 세미크리스탈린 상태에서 액체화로 변화하는 온도가 있는거죠. 페트의 경우 이 유리전이도가 70도의 thermoplastic이라 열을 70도이상으로 가해 물렁물렁해진상태일때 틀을이용해서 모양을 변형한뒤 식히면 그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불에 매우 잘 탑니다. 플라스틱 원료가 석유이기 때문에 불에 잘타며 불에타면 쪼그라 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플라스틱은 고분자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연결은 열에 쉽게 끊어져 모양이 변형됩니다. 그래서 플라스틱에 열을 가하면 모양이 변하게 되고 식으면 다시 그 모양대로 굳어버리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