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어떻게 흡수하는건가요 기체인데 그리고 바다가 이산화탄소 흡수를 많이 하면 바다에는 어떤 영향이 생기는건가요
바다의 해수면 가까이에는 많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조류가 생존해 있고 햇빛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고 산소를 배출 합니다.
이와같이 바다가 생성하는 산소는 지구전체 산소생성량의 절반이 넘습니다.
이렇게 바다는 많은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기 보다는, 모든 기체는 어느 정도 액체에 녹아들 수 있습니다.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아무 이유 없이 많이 흡수하게 된다면
지구 내부의 기압이 갑자기 떨어져 지구 환경이 변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곽선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루카본은 어패류나 잘피, 염생식물 등 바닷가에서 서식하는 생물뿐만 아니라 갯벌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합니다. 보통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하면 지구의 허파 아마존과 같은 산림을 떠올릴 텐데요, 나무와 숲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처럼, 바다 생물과 환경 또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답니다. 총면적은 육상의 산림보다 작지만 흡수 속도가 약 50배 정도 빨라 총흡수량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지구 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크게 해초류와 맹그로브 나무, 그리고 갯벌과 조류를 들 수 있어요. 해초는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해안을 따라 자라는 수중 식물입니다. 비록 바다 면적의 약 0.1%에 불과하지만 해저 탄소 매장량의 약 10~18%를 차지하고 있는 기특한 자원입니다. 바닷물이 드나드는 습지에 기생하는 갈대, 칠면초. 그리고 얕은 바닷속에 사는 잘피 등은 바닷속에 최대 50m 깊이까지 숲을 이루며 탄소를 흡수합니다.
우리나라는 전체 면적 2,495㎢의 서해안 갯벌이 있는 블루카본 자원 보유국입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해 연안 12개 지역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는 총 95종의 염생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어 블루카본 개발 잠재력 또한 굉장히 높은 편이라죠. 그러나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갯벌은 간척사업 등으로 지난 26년간 총 716㎢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전 세계의 실정도 비슷하다고 해요.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생물들의 환경이 파괴된다면 대기의 온실가스 농도 또한 당연히 높아질 텐데요, 계속해서 뜨거워지는 지구를 위해 이제라도 갯벌을 비롯한 해양생태계의 소중함을 알고 지켜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는 물에 용해될 수 있습니다. 기체의 압력(대기의 압력)이 높을 수록, 액체의 온도(바다의 온도)가 낮을 수록 기체는 더 잘 녹습니다. 이유는 바다는 물 분자, Na, Cl 등 다른 원소를 포함하여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온과 분자들 사이에 공간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공간으로 녹아들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뿐만 아니라 물은 CO2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CO2와 H2O가 반응하여 수소이온을 방출하여 산성화가 진행됩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비는 대기를 지나며 흡수한 CO2의 영향으로 약 산성을 띄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바다가 흡수하는 CO2의 양이 많아지며 바다 역시 일부 지역의 산성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산성화된 바다에서는 산호초의 백화현상 및 플랑크톤의 생장저하 등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