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바지락 칼국수
바지락 칼국수

도시농업의 사례와 단점이 알고 싶어요!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해 도시농업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옥상정원을 만들거나 발코니에 식물을 두는 게 도시농업 사례의 전부일까요? 도시농업으로 인한 단점은 없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도시농업은 도시와 근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농업활동을 포함합니다. 이에는 개인의 집이나 베란다, 옥상에서 채소를 가꾸는 자가텃밭, 남의 빈 땅을 무단점유하여 농작물을 기르는 무단점유 도시농업, 건물 내나 도시 외곽에서 상업적으로 농작물을 생산하는 상업적 도시농업, 그리고 지자체나 단체에서 임시로 제공하는 토지에서 여가 활용 목적으로 경작하는 공동텃밭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도시농업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첫째, 도시 내에서는 공간 확보에 대한 어려움과 지가 상승 등으로 텃밭 수요를 만족시킬 만한 농지 확보가 어렵습니다. 둘째, 도시농업은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 건설을 가능하게 하지만,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비료와 자재들로 인해 주변 환경이 오염될 수 있습니다. 셋째, 도시의 녹지율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넷째,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시의 경관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도시텃밭 정원의 확대 조성, 텃밭 공동체의 조직화, 체험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도시농업 전문 인력 양성 등이 제안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