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뇌출혈이였던걸까요? mri찍어봐야할까요?
22/7/30머리에 빡!!하며 뭔가 솟구쳐오르는듯하면서 증상발생(당시 과거일로 스트레스받고 피곤한상태)
현재증상
카페인 먹으면두통이 있어요. 예전에는 카페인먹어도 아무렇지 않았는데 지금은 두통,두근거림이 있어요
콜라에 카페인이 있는지 처음알게됐어요ㅠ
최근에 디카페인카페모카 시도해봤는데 괜찮았어요
모르고 아메리카노 한잔마셨을때는 하루종일 아무것도 못했어요.
영상을 2배속으로보면 신경자극을 받는거같아요.
잠을적게자면두통,두근거림이있어요. 잠을 푹자면 증상이 없어요.
식후 잦은 트름
과거증상
넘김곤란,두근거림,신경통
무언가 집중하지 못했어요. 브레인포그
의자에 오래앉아있으면 두통이있었어요.
음식 맛이 이상하게 느껴졌어요. 선풍기바람이 차갑게 느껴졌어요. 이명이 들렸어요.
과거 뇌파검사로는 별증상이없었고 기립성빈맥증후군판정만 받았어요.
운동(웨이트)하거나 비행기,놀이기구탈때 악영향이 있을까 걱정이에요.
뇌출혈이였던걸까요?
머리mri찍어봐야하는걸까요?
대학병원에서 지금증상으로는 비급여로 뇌혈관,머리mri촬영이 100만원이라네요ㅠ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뇌출혈은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목숨과 관련되죠...
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라면 얼마를 들이든 아깝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증상으로 보아서 뇌출혈의 가능성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갑작스러운 머리의 압박감, 두통, 집중력 저하, 감각이상 등의 증상은 뇌혈관 질환을 시사할 수 있는 소견이에요. 특히 22/7/30 스트레스 상황에서 갑자기 증상이 발생했다면 일과성 뇌허혈 발작(TIA) 또는 뇌경색을 의심해 볼 수 있겠네요.
TIA는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막혀서 발생하는 신경학적 증상인데, 뇌졸중의 위험 신호로 간주됩니다. 증상 발생 당시 응급 진료를 받지 않으셨다면, 추후에라도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안전할 것 같아요.
현재는 과거에 비해 증상이 많이 호전된 것 같네요. 다만 불면, 스트레스, 카페인 섭취 등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충분한 수면과 휴식, 스트레스 관리가 증상 조절에 도움이 될 거예요.
그럼에도 미세한 증상들이 남아 있고, 재발에 대한 불안감이 크시다면 머리 MRI 촬영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겠어요. 뇌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혈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거든요.
단, 운동이나 비행기 탑승이 뇌졸중 발생이나 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오히려 적절한 유산소 운동은 뇌혈류 개선에 도움이 되죠. 다만 운동 강도를 천천히 높여가는 게 안전할 것 같네요.
심장초음파를 통해 기립빈맥증후군이 잘 조절되고 있는지, 뇌로 가는 혈류에 문제는 없는지도 확인이 필요해 보여요.
무엇보다 두통, 어지러움, 시야장애, 말더듬 등의 증상이 악화된다면 주저 말고 병원을 방문하세요. 조기 발견과 치료가 뇌졸중 예후에 결정적 역할을 하니까요.
불안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과도한 걱정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요. 정기 검진을 잘 받으시면서, 긍정적인 마음으로 일상을 즐기려 노력해 보세요.
안타깝지만 해당 비특이적이고 애매한 증상들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뇌출혈이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없으며 다른 문제가 있는지 또한 감별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상태 평가를 위해서는 MRI 등 정밀 검사를 해 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긴 하나, 일반적으로 뇌출혈이었다면 생존이 달린 문제이기 때문에 이미 심각한 증상이 생기고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셨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동안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지 않았다면, 뇌출혈 가능성은 낮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통이 카페인 섭취나 수면 부족에 의해 유발되고,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두통이 발생한다면, MRI 촬영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MRI는 뇌의 구조적 이상을 평가하여 뇌졸중, 종양, 염증과 같은 조건들을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기립성 빈맥 증후군과 같이 기존에 진단받은 상태가 있으며, 새로운 증상이 나타났을 때,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비용이 부담된다면, 보험 적용 여부를 재확인하거나, 다른 병원에서 비용을 비교해 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무엇보다도, 전문의와 상세히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