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방에서 극야현상이 관측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노르웨이 등의 극지방에서는 해가 뜨지않는 극야현상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노르웨이에는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 햇빛을 인위적으로 쐬는 인공태양 카페도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극지방에서 극야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야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약 23.5도 기울어져 있는데, 이로 인해 태양의 빛이 극지방에 직접 비치는 시간이 달라집니다. 여름에는 극지방이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빛이 오랫동안 비치지만 겨울에는 극지방이 태양을 등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의 빛이 거의 비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극지방에서는 겨울 동안 해가 뜨지 않는 극야현상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플라즈마와 가스로 이루어진 태양풍을 방출합니다. 이 태양풍은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지구로 향하게 됩니다.지구는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풍 중에는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입자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극지방은 지구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는 지역입니다. 입자들은 극지방에서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야현상: 북극을 기준으로 여름에 나타납니다.
발생 원인은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어서 여름에 북극은 태양빛을
지구가 자전하는 내내 받게 되서 하루동안 해가 지지 않는 것 처럼 보이게 되죠.
극야현상: 북극 기준으로 겨울에 나타납니다.
발생원인은 똑같고 겨울에 북극이 지구가 자전하는 내내 태양빛을 못받아서 생깁니다.
그래서 하루동안 해가 뜨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