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02

왜 공기중에 질소의 비중이 제일 높은건가요?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면 질소와 산소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기체들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그런데 왜 질소의 비중이 제일 높은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질소는 다른 기체 대비 안정적인 기체로 다른 원자와 잘 결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산소는 산화되거나 불에타면 이산화탄소가 되죠

    하지만 질소는 그대로입니다

    그래서 질소가 공기중에 많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의 주요 성분은 질소(Nitrogen)와 산소(Oxygen)입니다. 질소가 대기의 주요 성분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구 대기의 원래 구성: 지구 초기에 형성된 대기는 주로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수증기는 자외선과 화학 반응에 의해 분해되어 수소와 산소로 분리되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산소는 지구 표면에서 화학 반응을 통해 다양한 물질과 결합하여 사라지게 되었고, 대기 중에 산소의 비중은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2. 질소의 안정성: 질소는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질소 분자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비활성입니다. 이는 다른 원자 또는 분자와 쉽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질소는 대기 중에서 안정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화학 반응에 의해 쉽게 소비되지 않습니다.

    3. 질소의 대기 중 존재 형태: 질소는 대기 중에서 주로 이중원자 분자(N2)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중원자 분자는 매우 안정하며, 대기 중에서 산소(O2)보다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질소가 대기의 주요 성분이 되었습니다. 현재 지구 대기의 구성은 약 78%의 질소, 21%의 산소, 그리고 작은 비중으로 수증기, 아르곤,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2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중 공기에 질소는 78%이상, 산소가 20% 정도로 질소가 압도적으로 비중이 높습니다.

    식물은 질소를 받아들여 햇빛을 이용한 탄소동화작용을 하여 식물이 자라고 열매를 맺으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소를 대기에 배출함으로써 동물과 인간의 호흡과 생명유지에 원활함을 제공합니다.

    질소가 많아야 산소도 생성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