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놀이 유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사물놀이는 우리 민족이 대표적으로 즐겨하는 민속놀이잖아요 이런 사물놀이는 어떻게 해서 생기게 됐는지 그 유래가 궁금합니다 사물놀이를 하는 것을 보면 정말 신이 나더라고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의 유래가 궁금하군요.
사물놀이는 농민들이 하던 풍물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풍물패의 긴 대열은 크게 ‘앞치배’와 ‘뒤치배’ 등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때 앞치배란 꽹과리, 소고,장구, 북등과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을 말하고 뒤치배는 양반이나 각설이 등의 복장을 하고 춤을 추는 사람을 말합니다.일제강점기와 전쟁, 그리고 산업화를 거치면서 농촌의 해체가 진행되면서 점차 사양길에 접어들기 시작했습니다. 1960년대, 정부는 '민족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내세우며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했고, '무형문화재 제도'를 통해 전통문화 보존에 뛰어들었습니다. 김용배는 이를 두고 '무형문화재'라는 제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전승되어야 할 전통 문화를 제도권의 틀에 가두어 버렸다고 하였고 이를 김덕수가 인용한 바 있습니다.
풍물놀이 역시 1966년, 무형문화재로 포함되었다. 1966년 당시, 최초로 지정된 풍물놀이는 진주삼천포농악. 무형문화재 종목으로 지정된 풍물놀이는 진주삼천포농악 외에 평택, 이리, 강릉농악이 지정되어 있는데, 이들은 전부 1985년 지정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때의 풍물놀이는 일반 촌락에서 행해지던 마을굿만이 보존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그보다 2년 전 남사당놀이가 지정되었으나, 당시 남사당놀이는 꼭두각시 과장만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었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은 원래 절에서 불교의식 때 쓰인 법고, 운판, 목어, 범종 의 네 악기를 말했으나 뒤에 이것이 북, 징, 목탁, 태평소로 바뀌고 지금은 다시 북, 장구, 징, 꽹과리 의 네 민속타악기로 바뀌었습니다.
이는 1978년 사물놀이라는 이름으로 결성된 풍물연주단체에 의해 처음 소개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는 불교의식 때 쓰인 법고, 운판, 목어, 법종의 4가지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었습니다. 뒤에 북, 징, 목탁, 태평소로 바뀌었고, 지금은 다시 북, 장구, 징, 꽹과리의 4가지 민속 타악기 형태로 바뀌어 사물(꽹과리, 징, 장구, 북)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토대로 발전시킨 것입니다. 이들 악기는 자연의 소리와 비슷합니다. 장구는 비, 꽹과리는 번개, 징은 바람, 북은 구름을 의미합니다.
1978년 2월 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용배가 제안 구성하고 심우성이 이름을 지어 제안한 '사물놀이' 풍물패에서 연주를 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