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아하아멘
아하아멘
24.10.29

전기 설비에서 누전의 개념과 누전이 발생할 경우의 위험성,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장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시설관리직쪽으로 취업목표로 취준중입니다.

전기 설비에서 누전의 개념과 누전이 발생할 경우의 위험성,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장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누전의 경우에는 전기가 지정된 경로가 아닌 다른곳으로 흐르는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이는 아주 위험할 수 잇겠습니다.

    먼저 누전으로 인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아주 큰불이 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인명피해를 끼칠 수 있을만큼 큰 감전사고가 날 수 있고 설비가 고장 날 수 있겠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기 정검을 해주셔야 하며 전기선의 절연상태와 배선상태를 잘 확인해주셔야 된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

    누전은 한자어로서 샐 누, 전기 전으로 결합된 새는 전기를 말합니다. 즉 절연이 불량하여 도선에서 전기가 새어 나와 주변 도체에 전기가 흐르는 현상입니다.

    누전의 원인은 전기장치의 노후, 전선의 절연 불량, 전선의 피복 불량, 습기 침투 등입니다. 누설되는 전기는 감전, 기계 고장, 화재 등의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누전 또는 누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지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절연저항의 측정, 차단기나 계전기 등의 전기장치의 관리, 전선의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전기설비에서 누전은 절연이 불완전하여 전기의 일부가 전선 밖으로 새어 나와 주변의 도체에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런 누전현상은 전기장치나 오래된 전선의 절연 불량, 전선 피복의 손상 또는 습기의 침입 등이 주된 원인입니다.

    그리고 한번 누전현상이 일어나면 그 부분에 계속 누설전류가 흘러 절연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누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전선이 낡아서 절연 피복이 벗겨지지 않았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실외의 전기시설물은 빗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가정집에서 세탁기나 보일러 등을 청소할 때도 가급적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주방 싱크대 주변의 콘센트나 화장실 내의 콘센트에도 물청소를 하지 않으며

    만약 더러움 때문에 꼭 필요하다면 물걸레로 닦아주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또한 220V 전압 사용지역에서는 누전차단기

    를 반드시 설치하여 누전 시에 전기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