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제효능을 구별할 수 있을까요?
저는 진통제를 평소에 많이 복용하고 있습니다.
약의 원료별로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등의 성분이 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진통제가 있는 것을 알고 있는데요.
성분에 따른 부작용을 알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통제는 크게 2가지 계열로 나뉩니다 - 첫 번째는 타이레놀 계열로 아세트아미노펜이라는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 진통 해열제로서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지만 - 간 수치가 높거나 간 질환자들에겐 좋지 않습니다 - 반대로 위장장애가 있으신 분들은 타이레놀 계통을 추천드려요 - 두 번째로는 NSAIDs계열 입니다 - 이 계열에는 덱시부프로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이 있는데요 - 간이 안 좋으신 분들에게 특히 선택됩니다 - 다만 위장이나 신장이 좋지 않으신 분들은 주의해서 드셔야 합니다 - 진통제 별로 효능효과 체감이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 한 번 드셔보시고 맞는 진통제 성분을 체크하시어 - 다음 의약품 구매시 약사님께 말씀해주시는 게 매우 도움이 됩니다 -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상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통제의 경우 말씀하신것처럼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등의 성분들이 존재하는데요. - 처방약이 아닌 일반의약품상에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나뉘게 됩니다. -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덱시부프로펜, 아스피린 플루르비프로펜, 등 성분 모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분류가 됩니다. -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간독성 유발로 인하여 간건강에 유의하며 드셔야하고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경우는 위장장애와 신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식사후나 우유와 함께 드시기를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주로 알러지 간독성 위장장애 위장출혈 등 입니다 - 1) 쇽 : 쇽, 아나필락시양 반응(과민성유사 반응), 흉내고민(가슴쓰림), 오한,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 
 2) 혈액 : 헤마토크릿 감소, 헤모글로빈 감소, 빈혈, 재생불량성빈혈, 용혈성빈혈, 무과립구증, 과립구감소, 백혈구감소, 혈소판감소, 혈소판 기능 저하 (출혈시간 연장), 호산구증가 등의 혈액장애
 3) 소화기계 : 소화성궤양, 위장관궤양, 위장출혈, 천공(뚫림), 궤양성 대장염, 혈변, 위염, 췌장염, 토혈(혈액구토), 크론병,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소화불량, 설사, 위부불쾌감, 상복부 통증, 구갈, 구내염, 복부팽만감, 구강궤양, 변비, 흑변
 4) 피부 : 피부점막안증후군(스티븐스-존슨증후군), 중독성표피괴사증(리엘증후군), 광민감 반응(빈도불명), 빈도불명의 호산구 증가 및 전신 증후군을 동반한 약물 발진(DRESS 증후군), 혈관신경성 부종, 수포성피부염, 다형 홍반, 반구진 발진, 피부 붉어짐, 수포(물집), 발진, 급성전신성발진성농포증(급성전신성발진성고름물집증)(AGEP)
 5) 간장 : 간염, 황달, GOT, GPT,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P)의 상승 등과 같은 간기능이상, 간장애
 6) 면역계 : 과민증 또는 아나필락시스 반응, 천식발작, 두드러기, 습진, 자반(자주색반점), 발진, 가려움증
 7) 호흡기계 : 천식, 기관지수축, 호흡곤란 또는 쌕쌕거림
 8) 감각기계 : 암점(시야불능부위) 등 시각장애, 난청(귀먹음), 이명(귀울림), 미각이상, 현기증
 9) 정신신경계 : 졸음, 어지러움, 우울, 두통, 뇌혈관 사고 또는 신경질, 무균성 수막염 또는 수막염(심한 두통, 구역, 구토, 불면, 목이 뻣뻣함, 발열 또는 의식장애 등의 증상)
 10) 순환기계 : 혈압저하, 혈압상승, 심계항진(두근거림), 심부전, 심근경색증 또는 협심증
 11) 신장(콩팥) : 급성신부전, 핍뇨(소변감소), 혈뇨, 요단백, BUN, 혈중크레아티닌의 상승, 고칼륨혈증,. 간질성 콩팥염, 콩팥염증후군, 콩팥유두괴사, 요량 감소, 전신부종 및 이에 수반하는 숨가쁨, 나른함
 12) 기타 : 안와주위부종(눈주변 부기), 안면부종(얼굴부기), 권태감, 발열, 비출혈(코피), 부종(부기), 말초부종
 13) 이 약의 과량 복용 시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1) 귀와 미로(속귀) 이상: 어지러움
 (2) 위장관계 이상: 복통, 구역, 구토
 (3) 간·쓸개 이상: 간기능 이상
 (4) 대사 및 영양학적 이상: 고칼륨혈증, 대사산증
 (5) 신경계 이상: 어지러움, 졸음, 두통, 의식소실, 경련
 (6) 신장(콩팥) 및 비뇨기계 이상: 신부전
 (7) 호흡기, 가슴 및 세로칸 이상: 호흡곤란, 호흡 억제
 (8) 혈관계 이상: 저혈압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과량시 간손상 부작용이 있어, 하루 복용량이 4g이 초과되면 안됩니다. -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은 장기복용시 위장장애, 소화성궤양, 신장에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